재활용품 요일배출 ‘D-데이’ 낼모렌데…
제주자원연대 점검결과 지정요일 외 품목 ‘산더미’
클린하우스 관리자 배치 편차도…“홍보실적 의문”
제주특별자치도가 다음달 1일부터 재활용품 요일별 배출제를 전면 시행하기로 한 가운데 시민단체 긴급점검 결과 지정요일 외 무단배출이 여전한 것으로 나타났다.
제주자원순환연대(공동대표 문상빈, 문영희, 김태성)는 지난 20일, 21일, 23일 오후 9시부터 11시까지 제주시 노형동, 연동, 아라동, 화북동, 이도2동의 클린하우스 각각 4곳을 임의로 실태점검을 실시했다고 28일 밝혔다.
자원순환연대에 따르면 점검 결과 재활용품 이외의 쓰레기 혼입율과 배출용기 넘침 현상은 재활용품 요일별 배출제 시행 이후 개선되는 모습을 보이나, 지정요일 이외의 품목 배출실태는 여전히 정착되지 않는 것으로 드러났다.
특히 플라스틱 용기의 경우 요일과 관계없이 배출되고 있어 그만큼 많은 양이 상시적으로 배출되고 있는 것으로 드러났다. 병류나 스티로폼처럼 배출용기가 따로 비치된 경우 요일과 관계없이 배출이 이뤄지고 있는 것으로 확인됐다.
결국, 현행 재활용품 요일별 배출제의 실태를 여실히 보여주는 부분으로 플라스틱 용기 배출과 관련한 제도 개선은 물론 상시배출 가능한 배출품목 조정 등이 필요한 상황인 것으로 판단됐다.
또 이번 조사로 확인된 점은 클린하우스 관리 인력이 배치된 클린하우스와 배치되지 않은 클린하우스의 편차가 매우 극심한 것으로 나타났다.
제주자원순환연대는 “이런 상황이지만 제주도는 재활용품 요일별 배출제 시범운영기간 동안 재활용은 37%가 증가했다고 홍보했지만 이번 점검을 통해 보여지듯이 과연 재활용품 요일별 배출제 운영이 이런 결과를 가져온 것인지를 두고 의문을 제기할 수밖에 없다”고 강조했다.
그러면서 “아직 재활용품 요일별 배출제가 정착됐다고 판단하기에는 이르다”면서 “제도의 현 실태를 개선하기 위해서는 과태료 부과 등의 강제조치보다 도민홍보와 교육 등 계도활동이 더욱 필요하다”고 덧붙였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