공론화 시동 건 ‘제주4·3, 공휴일 지정’
2017-06-11 제주매일
‘제주4·3’ 70주년을 앞두고 4·3희생자 추념일을 지방공휴일로 지정하자는 논의가 공론화(公論化) 되기 시작했다. 불을 지핀 것은 제주도의회 4·3특별위원회가 최근 개최한 ‘4·3희생자 추념일의 지방공휴일 지정, 그 당위성과 과제’ 주제의 정책토론회였다.
이날 주제발표에 나선 김민환 한신대 교수는 “제주의 지방공휴일 지정 시도는 지금까지 추진된 4·3사건의 해결 과정에서 얻은 성과를 더욱 공고하게 하는 한편, 제주4·3의 ‘정명(定名)’ 문제를 해결하는데 돌파구가 될 수 있을지도 모른다”고 피력했다.
토론에 나선 박찬식 제주4·3 70주년 범국민위원회 운영위원장도 “4·3의 교훈과 정신을 이어나갈 2·3세대 유족과 젊은 세대의 참여가 무엇보다 절실하고 전 도민이 함께하는 4·3이 되어야 한다”며 지방공휴일 지정 필요성을 강조했다.
그러나 이는 말처럼 쉬운 일이 아니다. 현재 ‘광주 5·18민주화운동’ 등 우리나라 어떤 기념일도 ‘지방공휴일’로 지정된 사례가 없고 규정 또한 마련돼 있지 않다. 따라서 광주 등 유사한 지향을 지닌 도시끼리 연대, 우선 제도적 장치 마련 및 공감대 형성 등에 주력해야 할 것으로 보인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