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친환경 교통인프라 구축, 국가지원 필수”

‘친환경 광역교통 인프라 구축방안’ 세션
대중교통체계 개편 코앞 ‘인구증가 대비’ 제기
박재모 팀장 “관련법령 개정 등 생각 전환 필요”

2017-05-31     김승범 기자

제주도에 친환경 광역교통시스템 도입과 인프라 시스템 구축 필요하다는 주장과 함께 이를 위해 중앙정부 지원 및 관련법 개정이 필요하다는 의견이 제기됐다.

‘제12회 제주포럼’ 첫날인 31일 제주국제자유도시개발센터(이하 JDC)는 ‘지속가능한 국제자유도시 제주의 친환경 광역교통 인프라 구축방안’을 주제로 세션을 진행했다.

JDC 박재모 조사연구팀장(관광개발학박사)은 이날 세션 주제발표를 통해 향후 관광객 및 정주인구의 급격한 증가에 대비한 친환경 광역교통 시스템 구축 등 선제적인 준비의 필요성을 강조했다.

오는 8월 제주도의 대중교통체계가 전면 개편되는 가운데 전국 지자체에서 이미 운영 중인 친환경 광역교통 인프라 중 제주도가 도입을 검토할 수 있는 모델이 소개됐다.

박 팀장은 인천국제공항의 자기부상열차, 대구시 도시철도 3호선의 모노레일 시스템, 성남시가 2020년 개통할 예정인 트램, 세종시의 BRT(간선급행버스체계)를 꼽았고, 이들에 대한 장단점을 분석했다.

그는 “광역교통 인프라는 향후 국제자유도시 제주의 핵심 인프라로 중앙정부의 지원이 필요하고, 광역교통으로 인정받기 위해서는 광역철도법 등 관련 법령 개정이 필요하다”고 밝혔다.

이어 “제주의 경우 육지와 떨어져 있어 적용이 안 되고 있지만, 제주 관광객 1200만명이 내국인인 점을 감안한다면 생각의 전환이 필요하다”고 강조했다.

한편 주제발표에 이어 JDC 박현철 투자개발본부장이 좌장을 맡아 김규호 경주대 교수, 강기춘 제주연구원장, 이용탁 JIBS 보도제작본부장, 양근율 한국철도기술연구원 부원장, 문영준 한국교통연구원 교통기술연구소장이 패널로 참가해 토론을 진행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