중국의존 너무 큰 ‘크루즈관광의 위기’

2017-05-30     제주매일

박철희 서울대 국제대학원장은 JDC 개최의 한 세미나에서 “제주국제자유도시를 위해 그동안 추진했던 각종 사업 및 정책이 중국에 너무 의존하는 등 전략적으로 취약했다”는 주장을 제기한 바 있다. 중국 관광객 및 투자를 제주발전의 원동력으로 삼아왔는데, 지금에 이르러 그 한계를 드러내고 있다는 지적이었다.

제주 크루즈관광이 위기에 빠졌다고 한다. 각 선사들의 제주기항 취소가 잇따르는 가운데 오는 7월 개항인 강정 크루즈항(민군복합형관광미항)마저 자칫 ‘개점휴업’에 들어갈 소지가 크다는 것이다. 그리고 그 중심엔 중국의 치졸한 ‘사드 보복’이 자리잡고 있다.

제주자치도에 따르면 올해 제주기항이 예정됐던 크루즈는 704회에 관광객이 150만명 규모였다. 하지만 기항실적은 고작 86회·17만9267명에 그쳤다. 가장 큰 원인은 사드(고고도미사일방어체계) 배치에 대한 중국의 보복 때문이었다. 현재 잔여물량이 384회가 남아있으나 이마저 확실치 않아 앞으로 기항 취소는 더욱 늘어날 것으로 점쳐지고 있다.

7월 개항을 앞둔 강정 크루즈항도 사정은 마찬가지다. 계획상으론 166회 기항이 이뤄질 예정이지만 사드로 악화된 한·중 관계가 회복되지 않으면 무더기로 기항이 취소될 가능성이 매우 높다. 개항을 하자마자 곧바로 문을 닫을 수도 있다는 뜻이다.

이 같은 현실은 크루즈 등을 포함한 제주관광이 중국에 대한 의존도가 너무 높기 때문에 나타나는 현상이다. 7월 이후 한·중 관계가 호전될 것이란 전망이 나오고 있지만, 각종 상황에 따라 앞으로도 중국의 ‘몽니’는 계속될 것이 뻔하다. 중국 일변도의 부작용에 대한 근본적인 대책을 마련하지 않으면 크루즈관광 등 제주의 미래는 없다고 해도 과언이 아닐 것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