제주 도심지 담팔수 고사 ‘파이토플라스마’ 병원균 원인
2017-05-24 진기철 기자
도심지 가로수로 식재된 담팔수가 최근 지속적으로 고사한 것은 파이토플라스마(Phytoplasma)라는 병원균에 의한 것으로 밝혀졌다.
제주특별자치도 세계유산본부는 한라산연구부, 국립산림과학원(이선근 박사팀), 전북대학교(한상섭 교수팀)와 공동으로 담팔수 고사원인에 대해 조사 분석한 결과, 나무를 고사시키는 주요 병원균인 파이토플라스마(Phytoplasma)가 검출됐다고 24일 밝혔다.
공동연구팀이 제주시와 서귀포시에 식재된 담팔수 시료 12점을 채취해 유전자 분석을 실시한 결과 시료 12점 중 8점에서 파이토플라스마 병원균이 검출됐다.
또한 방제시험을 위해 선발된 약제인 옥시테트라사이클린(Oxytetracycline)을 시험목에 나무주사한 결과 새순 발생 등 수세회복 효과가 현저하게 나타나는 결과도 얻었다.
조인숙 한라산연구부장은?“담팔수의 고사를 방지하기 위해 녹지관리 부서 및 재배농가 등에?방제기술을 제공, 담팔수 방제를 대대적으로 실시토록 할 예정”이라며 “파이토플라스마 감염여부 분석, 전염 매개충 조사연구 및 효율적인 방제방법에 대해 집중적으로 연구해 나가겠다”고 말했다.
한편 파이토플라스마는 식물에 병해를 일으키는 세균으로 식물의 체관에서 기생하고 체관액을 빨아들이는 곤충에 의해서 매개된다. 감염되면 증식된 파이토플라스마가 양분과 수분통로를 막아 식물을 고사 시키는데, 피해증상은 잎이 누렇게 되는 약한 증상부터 식물이 고사하는 현상까지 다양하게 나타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