제주국제大 또다시 ‘내홍’에 휩싸이나

2017-05-21     제주매일

제주국제대학교(총장 고충석)가 또다시 ‘내홍(內訌)’에 휩싸일 전망이다. 발단은 대학본부가 지난 16~17일 교직원을 대상으로 실시한 ‘보수체계 조정안’ 투표에서 비롯됐다.

이번 투표는 대학구조 개혁평가를 앞두고 재정난 해소 차원의 보수체계 조정이 필요하다는 판단에서 실시됐다. 대학 재정자립과 지속가능성 확보를 위해 교직원들의 임금 삭감(기본급 20%)에 대해 의견을 물은 것이다.

더욱이 고충석 총장을 비롯한 보직교수들은 투표에 앞서 “전체 교직원 중 찬성표가 과반이 안 되면 총 사퇴하겠다”고 배수진(背水陣)을 친 바 있다. 그러나 투표 결과가 아주 애매하게 나왔다. 전체 교직원 130명 가운데 124명이 투표에 참여한 결과 찬성 62표, 반대 61표, 무효 1표, 기권 6표로 나타났기 때문이다.

이 같은 결과를 놓고 학교 내부에서 서로 다른 해석이 나오면서 혼선이 빚어지고 있다. 대학본부 측은 한 표 차이지만 찬성이 더 많기에 과반(過半)이 된다고 주장한다.

반면 반대 측에선 전체 교직원의 과반이 되려면 찬성표가 66표 이상 나왔어야 한다는 것. 근로기준법상 취업규칙의 불이익 변경은 재적의원 과반수의 동의가 필요하다고 규정돼 있어 당연히 ‘부결’이라고 맞서는 상황이다.

당초 대학 측이 임금 삭감안을 표결에 붙인 것은 학교재정이 부실(不實)하다는 판단 하에서 내린 고육책이라고 해도 과언은 아니다. 제주국제대는 지난해 6월 옛 탐라대 부지와 건물을 제주도에 매각해 415억9500만원을 교비 수입으로 확보했다.

이 가운데 150억원을 2012년부터 밀린 교직원들의 급여로 지급했다. 금융권에 갚은 부채도 90억원에 달한다. 기타 법정부담금과 시설개선비 등을 지출하고 현재 남은 돈은 약 72억원 안팎으로 알려졌다.

국제대 전체 교직원의 한해 임금은 대략 64억원. 대학 측은 교육환경 개선 등 지출할 곳이 많은 상태에서 현재 임금 체계라면 내년 쯤에는 재정(財政)이 바닥날 것으로 판단하고 있다. 때문에 보수체계 조정이 없으면 학생 충원율 등을 감안할 때 ‘희망’이 없다는 것이다.

하지만 임금 삭감 등을 통한 대학 정상화 자구노력은 불발(不發)로 끝날 가능성이 커졌다. 찬·반 입장이 팽팽한 가운데 고충석 총장체제가 이 난관을 어떻게 돌파해 나갈 것인지 귀추가 주목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