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제대 ‘보수 조정안’ 내홍 재발

임금 삭감 교직원 투표 결과 놓고 해석 달라

2017-05-18     문정임 기자

1999년 재단의 교비 횡령으로 15년간 고통 받다 탐라대 매각으로 회생의 발판을 다졌던 제주국제대학교(총장 고충석)가 교직원들의 임금 처리 문제로 다시 내홍을 겪고 있다.

대학 관계자들에 따르면 국제대 본부는 지난 16~17일 교직원을 대상으로 보수체계 조정안 투표를 실시했다.

2018년 대학구조개혁평가를 앞두고 재정난 해소를 위해서는 보수체계 조정이 필요하다고 판단, 교직원들의 임금 삭감(기본급 20%)에 대해 의견을 물은 것이다. 투표 결과 총 인원 130명 중 124명이 투표에 참여해 찬성 62표, 반대 61표, 무효 1표가 나왔다. 나머지 6명은 기권이었다.

문제는 투표 결과를 놓고 학교 내부에서 해석이 다르다는 것이다.

대학 본부 측에서는 한 표 차이로 찬성이 더 많기 때문에 보수 조정에 들어가도 된다고 해석하고 있다.

반면 반대 측 구성원 일각에서는 근로기준법에 취업규칙의 불이익 변경은 재적인원 과반수의 동의가 필요하다고 규정돼 있어 이번 결과는 부결이라고 반발하고 있다.

이들은 투표에 앞서 대학 본부 관계자가 공지한 메시지에도 “채택여부는 유효투표의 과반이 아니라 재적 인원의 과반 찬성”이라는 내용이 담겨 있다고 주장하고 있다.

대학 선거관리위원회측은 전체 교직원 중 찬성은 47.7%(130명 중 62표)로 과반이 안 된 것으로 판단해 대학 측에 통보한 것으로 알려졌다.

특히 고충석 총장이 교직원 참여를 호소하면서 과반 확보 실패 시 사퇴하겠다는 의사를 밝힌 것으로 알려지면서 이번 투표 결과는 고 총장의 향후 거취와도 연결된다. 

대학 측은 조만간 공식 입장을 발표한다는 계획이다.

한편 제주국제대는 지난 해 6월 제주도에 옛 탐라대 부지와 건물을 매각해 416억 원을 교비수입으로 확보했다.

당시 고 총장은 제주도 매입 안이 확정되자 대학 정상화를 약속하며 대학구조개혁평가에 대비한 교육환경 개선에 최우선적으로 투자하겠다고 밝힌 바 있다.

그러나 제주국제대의 전신인 옛 제주산업정보대학과 탐라대학교가 장기간 파행 운영되면서 체불임금 규모가 크고, 이 기간 학생 충원 율은 절반을 상회하는데 그치면서 자금난이 이어지고 있다.

제주도 관계자는 “임금 문제로 도에 민원이 여러 차례 접수되고 학교 측에 소송과 강제경매절차가 이어지는 등 누적된 임금 체불 문제로 학교가 어려움을 겪고 있다”며 “당초 대학 정상화를 위해 약속했던 시설환경개선에는 기대만큼 투자가 이뤄지지 않은 것으로 안다”고 말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