명월진성 부실 복원 의혹 밝혀야 한다
2017-05-08 제주매일
한림읍 명월리에 있는 제주도기념물 제29호 ‘명월진성’에 대해 부실 복원 논란이 일고 있다. 제주특별자치도는 현재 5억원을 투입, 누각 전체를 해체하고 재건축하는 공사를 진행하고 있다.
누각 기둥에 균열이 발생함은 물론 나무도 썩고 있기 때문이다. 지난해 10월 태풍 ‘차바’ 내습 당시 떨어져나간 기와도 보수 대상이다.
기둥이 깨지고 나무가 썩으면 보수해야 한다. 그런데 문제는 ‘보수 주기’다.
행정 당국은 이미 8년 전인 2009년 2억원을 투입, 누각을 전면 해체하는 보수공사를 진행했다. 그리고 2003년에도 문화유산의 보수·보존과 효율적인 문화재 관리를 위해 사업비 2억원으로 남문누각 상층부분 1동을 정비한 바 있다.
왜구의 침략을 막겠다던 ‘성(城)’이 어째 가정집만도 못한 것 같다. 가정집도 지어놓으면 수십년 가는데 14년새 수리만 세 번째, 사업비만 9억원이다. 이것은 문화재가 아니라 세금 먹는 하마나 다름없다 할 것이다.
부실 의혹 제기는 당연해 보인다. “나무(육송)라 오래되면 부식되고 균열이 생겨 재건축 하는 것일 뿐”이라는 제주도 관계자의 ‘변명’도 이해할 수 없다. 그 숱한 국내외의 성(城)들이 나무기둥이 썩어 몇 년에 한 번씩 교체하기 위해 허물었다 지었다한다는 말을 들은 적이 없다.
부실 있다면 책임을 물어야 한다. 일벌백계로 다스릴 것을 주문한다. 행정이 스스로의 감찰 기능이 미진하면 제주도감사위원회가 나서야할 것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