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전투표 열기 ‘선거혁명’으로 이어지길
제19대 대통령선거 사전투표율이 26.06%로 집계됐다. 중앙선거관리위원회는 최종집계 결과, 지난 4~5일 이틀 동안 전체 유권자 4247만710명 중 1107만2310명이 사전투표에 참여했다고 밝혔다. 이는 유권자 4명 가운데 1명이 참여한 것으로, 2013년 4월 사전투표가 도입된 이래 가장 높은 투표율이다.
지역별로는 세종이 34.48%로 17개 시·도 중 가장 높은 투표율을 보였다. 또 전남 34.04%, 광주 33.67%, 전북 31.64% 등 호남지역 사전투표율이 모두 30%를 넘겼다. 반면에 대구는 22.28%로 가장 낮았으며, 부산도 23.19%로 전국 평균을 밑돌았다. 경북은 27.25%, 경남 26.83%, 울산 26.69%에 그쳤다. 제주 역시 대구 다음으로 낮은 22.43%에 머물렀다.
이처럼 사전투표율이 예상보다 높은 것은 대선(大選) 투표일이 5월 황금연휴의 마지막 날로, 휴가자들이 미리 투표를 하고 여행을 떠났기 때문으로 보인다. 여기에 박근혜 전 대통령 탄핵에 따른 재보궐 선거라는 점, 최순실 국정농단에 반발한 ‘촛불민심’이 투표열기로 이어졌다는 분석도 나온다.
특히 이번 사전투표는 ‘서고동저(西高東低)’ 현상이 뚜렷했다. 서쪽의 전남과 전북, 광주의 투표율이 모두 30% 이상인데 반해 동쪽의 경남과 경북, 대구·부산은 전국 평균과 비슷하거나 다소 낮았다.
전문가들은 호남의 경우 기존 야권 후보 가운데 한 명을 찍기로 이미 결정한 유권자 비율이 높아 망설임 없이 사전투표에 임한 것으로 분석하고 있다. 반면 보수층이 많은 영남은 여전히 지지후보를 정하지 못했거나, 박근혜 전 대통령 탄핵(彈劾) 이후 실망감 혹은 무력감으로 인해 투표 자체를 회피하려는 경향 때문으로 해석했다.
예상보다 높은 사전투표율이 어느 후보에게 유리할지를 놓고는 전망이 엇갈린다. 전통적으로 젊은층이 주로 사전투표를 하는 점을 고려할 때 그간의 여론조사 결과 2030세대 지지가 높은 더불어민주당 문재인 후보가 유리할 것이란 견해가 있다. 하지만 이를 의식해 보수층이 결집하고 유승민·심상정 후보가 막판 젊은층 세몰이에 주력하고 있어 전혀 예상하지 못한 결과가 나올 것이라는 분석도 있다.
국가의 의사를 최종적으로 결정하는 권력이 국민에게 있다는 ‘주권재민(主權在民)’은 선거에서 투표를 통해 구현된다.
내일 치러질 ‘장미대선’은 어느 특정인을 대통령으로 만들기 위한 요식행위가 아니라 ‘우리의 내일’을 결정하는 중차대한 일이다. 이번 사전투표의 열기(熱氣)가 우리의 삶과 국가의 미래를 바꾸는 명실상부한 ‘선거혁명’으로 이어지길 기대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