수학여행단 유치만이 정답은 아니다

2017-05-03     제주매일

제주특별자치도가 ‘국내 수학여행 1번지 명성 회복’을 선언했다. 제주도는 2일 “수학여행단 안심수학여행서비스를 집중 홍보하며 수학여행단 유치를 확대해 나가겠다”고 발표했다.

제주도는 이를 통해 단체 관광객을 대상으로 하는 전세버스와 대형 관광식당 등의 경영난을 해소한다는 계획이다. 사드보복 조치로 중국인 단체관광객이 급감한 데 따른 ‘대안’인 셈이다.

제주도는 전국 중·고등학교 5455개교에 안심수학여행 제도 안내문을 발송, 4월말 현재 14만8326명(838개교)이 신청했다고 한다. 지난해 같은 기간 13만9475명(797개교)보다 5.9% 증가했다.

제주도는 안전서비스 제도가 수학여행단 증가에 기여하고 있다는 분석이다. 이는 수학여행단이 이용할 숙박시설·음식점. 관광버스·체험시설을 제주도와 유관기관이 사전에 점검, 결과를 통보해 주는 제도다.

이유가 어떻든 수학여행단이라도 증가해 도내 관광업계 경영에 도움이 된다니 여간 다행이 아닐 수 없다. 하지만 임기응변으로 소탐대실하지 말고 조금 어렵더라도 장기적인 안목에서 제주관광 정책에 접근할 것을 주문한다.

단순히 내도 관광객 숫자 늘리기에 몰입해선 안 될 것임을 강조한다. 외형적 성장에만 집착하다보면 덤핑으로 인한 ‘부작용’이 발생할 수밖에 없다. 안심수학여행제도에도 불구, 저가의 수학여행상품이 나올 개연성을 우려한다.

한정된 항공편과 선박 등 접근성은 풍선효과도 생각해야할 것이다. 수학여행 학생들이 늘어나면 그만큼 다른 관광객들의 제주 접근성이 악화될 수밖에 없다. 현실의 어려움을 달래기 위한 수학여행단 유치와 함께 제주관광의 체질을 바꿀 패러다임 변화에 대한 고민도 같이 주문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