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제주복지 문제, 소통·전문성 부재서 비롯”

제주복지포럼 심경수 교수 ‘협력적 거버넌스’ 제안
“복지 전달과정 주체-객체 갈등 조정·이해 전제돼야”

2017-04-17     박민호 기자

지난해 제주복지 원탁회의에서 도출된 ‘제주복지 10대 과제’를 해결하기 위해선 다양한 사회복지 주체 및 객체 간 갈등의 조정과 이해가 전제돼야 한다는 주장이 제기됐다.

제주특별자치도의회 보건복지안전위원회(위원장 유진의)와 의원연구모임인 제주복지공종체포럼(대표 유진의)은 17일 오후 3시 제주도의회에서 ‘2017 제주사회복지포럼’을 개최했다.

‘제주복지 10대 과제 어떻게 풀어갈 것인가’를 주제로 진행된 이번 포럼은 지난해 10월 제주복지 원탁회의에서 도출된 ‘제주복지 10대 과제’에 대해 구체적이고 현실적인 정책을 제안을 위해 마련됐다.

심경수 제주대학교 행정대학원 교수는 발제 자료를 통해 “‘제주복지 10대 과제’를 분석한 결과 대부분을 차지하는 내용들의 주된 핵심은 ‘소통’과 ‘전문성’의 부재에 대한 요구였다”며 “이로 인해 복지기관 간의 협업의 어려움, 급변하는 복지현장에 대한 적극적 대처의 부재, 양극화 돼 가는 도민들의 삶 등 사회적 이슈들이 발생하는 것”이라고 지적했다.

심 교수는 이에 대한 해결책으로 협력적 거버넌스를 제안했다.

심 교수는 “결국 소통과 전문성의 부재를 해결하기 위해선 사회복지 전달과정의 주체와 객체들 간의 갈등의 조정과 이해가 전제돼야 한다”면서 “이를 통해 제주형 사회복지 모델 개발이 이뤄져야 하는데, 이를 원활히 진행하기 위해 ‘협력적 거버넌스’는 적절한 안내자 역할을 할 것”이라고 전했다.

이어 “‘소통’과 ‘전문성’을 함께 가져갈 수 있는 허브 기구는 행정-의회-현장-시민사회-학계 등의 의견을 수렴하는 역할을 해야 하며, 동시에 사회복지 분야의 전문적인 연구를 할 수 있는 기관이어야 한다”며 “이런 역할을 수행할 수 있는 기구는 개원 예정인 ‘제주사회복지창의센터’”라고 제언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