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4·3’ 70주년 범국민위원회 출범과 기대
제주4·3 제70주년 범국민위원회가 공식 출범했다. 지난 4월3일이 69주년이었으니 내년 70주년을 앞두고 어쩌면 당연한 일이다. 제주도민의 입장에서 반갑지 않을 수가 없다.
그리고 기대가 크다. 일단 제주뿐만 아니라 전국의 적지 않은 기관 단체들이 힘을 보태고 있다. 지난 8일 서울시의회 의원회관에서 열린 출범식에는 제주지역 64개 단체와 전국 80개 사회단체 등 총 144개 단체가 참여했다. 범국민위원회 상임공동대표와 공동대표 등 ‘집행부’의 면면도 만만치 않아 좋을 결실을 기대하게 한다.
실제로 제주4·3 제70주년 범국민위원회는 해야 할 일이 너무나 많다. 70주년을 앞두고 있는 시점에서도 4·3의 완전한 해결과는 아직 거리가 멀기 때문이다.
4·3과 관련한 미국의 책임 문제, 4·3희생자 배상 및 보상 문제 등은 물론 제주전역에 널려 있는 유해와 유적지 정비도 제대로 이뤄지지 못했다. 1999년 12월 26일 ‘제주4·3특별법’이 국회를 통과한 지 18년, 2003년 10월31일 국가원수(노무현 대통령)가 제주도민들에게 직접 사과를 한지도 15년째를 맞이한 2017년 현재의 상황이다. 통탄할 일이 아닐 수 없다.
범국민위원회는 ‘역사에 정의를! 4·3에 정명을!’이란 슬로건을 내걸고 ‘아픈 역사의 정의로운 청산과 치유, 4·3의 전국화와 세계화’ 등을 과제로 정했다. 구체적으론 배·보상과 희생자 신고·심의 상설화, 4·3특별법 개정, 제70주년 기념주간 사업, 학술연구사업, 문화예술사업, 미국 책임 문제 공론화, 올바른 과거청산을 위한 국내외 연대활동을 계획하고 있다.
범국민위원회가 머리를 맞대고 힘을 모아 이 모든 문제들을 제대로 해결, 70주년을 기점으로 4·3의 진정하고 완전한 해결이 이뤄져 향후엔 관련 ‘민원’이 일체 발생하는 일이 없기를 기원한다. 4.3의 완전한 해결은 대승적 차원에서 과거의 아픔을 해원과 용서로 정리하고 화해와 상생으로 함께 미래로 나아가기 위한 최소한의 필요조건이기 때문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