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30년 4·3미술 전용공간 필요”

도립미술관 ‘4·3미술 아카이브:기억투쟁 30년’展 연계 학술심포지엄
선구적 활동·재외동포 미술까지 외연 확대, 후대 전달방식 고민 등 주문

2017-04-09     문정임 기자

이미 제주 예술의 한 영역으로 안착한 4·3미술을 더욱 활성화하고, 이들의 활동을 시민과 연계해 평화·인권의 새로운 담론을 이끌어낼 수 있는 방안은 뭐가 있을까.

제주도립미술관(관장 김준기)이 제주4·3 70주년을 한 해 앞두고, 지난 7일 미술관 강당에서 개최한 ‘4·3미술 아카이브 학술심포지엄’에서는 4·3미술 상설 전시공간을 마련해 그간 집적된 예술적 성과를 끊김없이 활용해야 한다는 주장이 제기됐다.

또, 김석범 선생 외에는 거의 알려지지 않은 재일교포 예술인들에 대한 조명도 서둘러야 한다는 의견이 제시됐다.

제주도립미술관이 4·3 69주년을 기념해 준비한 ‘4·3 미술 아카이브: 기억투쟁 30년’전과 연계해 마련된 이번 심포지엄에서 토론자로 참석한 박경훈 제주문화예술재단 이사장은 4·3미술 전용공간 마련을 주문했다.

박경훈 이사장은 “당초 4·3평화공원 기본구상에 4·3문화예술센터가 포함됐었지만 이명박-박근혜 정권을 거치면서 결국 사라졌다”며 “지난 30년간 수백 점의 4·3작품이 생산됐음에도 상설 공간이 없어 활용은 물론 4·3과 평화를 잇는 연계 활동에도 제한이 컸다”고 지적했다. 

안혜경 아트스페이스씨 대표도 “지금은 4·3미술작품을 보관하는 여건도 열악한 상황”이라며 “4·3미술을 담아낼 전용 공간이 필요하다”고 성토했다.

안 대표는 특히 “상설 공간은 단순한 관람을 넘어 후세대들의 4·3예술의 체험을 위해서도  중요하다”고 강조했다.

이경은 도립미술관 학예연구팀장은 “전시가 끝나면 대부분 작가 개인이 작품을 보관하다보니 이번 4·3아카이브전 준비 과정에서 망가진 작품도 있었다”며 전용공간 설치에 같은 목소리를 냈다.

4·3미술의 완성을 위해서는 재외동포에 대한 조명이 시급하다는 의견도 제시됐다.

서승 교수는 “이번 아카이브 전에서는 4·3미술의 역사를 30년으로 잡고 범위를 제주에 한정한 면이 있다”며 “제주도립미술관은 아카이브 작업에 앞서 4·3미술을 존재하게 만든 외연적 성과에도 주목할 필요가 있다”고 전제했다.

그러면서 “제주 문화예술운동에 있어 선구적인 사례를 보충하고, 특히 4·3미술과 재일 동포사회와의 연관성에 주목하기 위해 재일동포 화가들의 작품과 활동을 조명해야 한다”고 주장했다.

이외 엄광현 평론가는 “4·3과 같은 역사적 주제들은 사건을 체험하지 않은 세대에게 그 의미를 어떻게 전달할 것인지가 가장 중요하다”며 “4·3미술제를 전시 중심에서 시민참여 행사로 확장해야 한다”고 주문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