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귀포시 ‘푸드트럭’을 둘러싼 논란

2017-04-04     제주매일

푸드트럭은 ‘손톱 밑 가시’를 뽑는 일환으로 지난 2014년 8월 합법화됐다. 청년 일자리 창출과 저소득층의 자립기반 조성이 당초 목표였다. 그러나 행정당국의 ‘운영 요령’에 의해 취지가 변질되면서 잡음이 일고 있다.

서귀포시는 최근 푸드트럭 영업자 선정을 마무리했다. 문제는 특정 장소를 청년과 기초생활수급자 등 우선 대상이 아닌 일반인에게 배정해 적절성 논란이 일고 있는 것. 그것도 영업이 가장 잘되는 장소로 알려진 솔오름 전망대에 배정된 3대 중 1대를 2순위인 일반인에게 영업 권한을 줬다. 이곳은 3대 모집에 21명이 몰려 7대 1의 치열한 경쟁률을 기록했다.

나머지 옛 탐라대 사거리와 서귀포칠십리 시공원 입구 등도 6대 1의 경쟁률을 보였으나 모두 1순위 사람들에게 돌아간 것과는 지극히 대조적이다.

이와 관련 서귀포시 관계자는 “취업애로 청년과 기초생활수급자가 푸드트럭 영업 우선 대상은 맞지만 운영 요령에 의해 일반인에게도 배정할 수 있다”며 “추첨을 통해 공정하게 영업자가 선정됐다”고 강조했다.

시가 원칙을 준수했다면 이런 논란도 불거지지 않을 것이다. 기초생활수급자 등 우선 순위를 부여받은 2명도 이번 솔오름 전망대를 지원했다가 2순위인 일반인에 밀려 탈락했다. 이러고도 ‘운영 요령’을 내세우며 추첨과 공정을 운운하니, 지나가던 소도 웃을 일이다. ‘특혜 의혹’도 그래서 나온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