69주년 추념일 ‘4·3’ 완전 해결 기대
제69주년 4·3희생자 추념식이 3일 거행됐다. 황교안 대통령 권한대행과 정당 대표들과, 대선 주자, 4·3 희생자 유족과 도내·외 인사 등 1만여명이 참석, 4·3 영령들을 위로했다.
해마다 돌아오는 이날이 아프지 않은 적이 없지만 그래도 제주4·3이 국가기념일로 지정되고 추념일을 맞고 있음은 그나마 위안이 아닐 수 없다. 올해로 네 번째다.
그러나 4·3이 아직도 완전한 해결과는 거리가 멀다는 데 문제가 있다. 1999년 12월 26일 ‘제주4·3특별법’이 국회를 통과한 지 18년, 2003년 10월31일 국가원수(노무현 대통령)가 제주도민들에게 직접 사과를 한지도 15년째를 맞이한 시점에서 그야말로 통탄할 일이 아닐 수 없다.
그래도 희망을 찾는다. 황교안 대통령 권한대행은 추념사를 통해 “정부는 4·3의 진실규명, 희생자 명예회복·추모사업 등을 펼쳐왔다”며 “앞으로도 희생자들의 뜻을 기리고 유가족 아픔 치유에 노력하겠다”고 밝혔다.
대다수의 대선 후보들도 4·3 해결에 한 목소리를 냈다. 추념식에 직접 참석한 국민의당 안철수 후보는 “대통령이 된다면 내년 70주년에 반드시 참석하겠다”며 “능력을 다해서 평화로 가는 길을 열겠다”고 강조했다. 정의당 심상정 후보도 이날 추념식에서 “대통령이 되면 4·3항쟁의 진실을 제대로 규명하겠다”고 약속했다.
당내 경선일정 때문에 참석하지 못한 더불어민주당 문재인 후보는 SNS를 통해 “4·3의 희생과 고통을 기억하고, 인권과 평화를 향한 제주도민들과 함께 하겠다”고 밝혔다. 같은 당 안희정 후보는 논평을 내고 “명예 회복과 국가 차원의 배·보상 논의도 본격 진행해야 한다”고 강조했다.
이들의 관심과 발언이 고마울 따름이다. 그리고 만에 하나라도 언어의 유희로 끝나선 안될 일이다. 특히 황 대행의 발언은 ‘국가원수’ 자격으로 한 ‘약속’이다. 그리고 4·3의 완전한 해결은 과거의 아픔을 해원과 용서로 정리하고 화해와 상생으로 함께 미래로 나아가기 위한 최소한의 필요조건임을 강조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