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민참여 전제로 한 ‘원도심 활성화’ 주목

2017-03-27     제주매일

제주도가 제주시 원도심 활성화 사업을 지역주민 참여를 전제로 추진하겠다는 입장을 밝혔다.

원도심 도시재생 사업과 관련해 지역주민과 도의회 의견을 수용, 관덕정 및 서문 일원 토지 매입과 관덕정 주변 차 없는 거리 추진 등을 활성화 계획에서 제외하겠다며 이 같이 강조했다.

제주도는 관덕정 광장 조성도 주민 공론화를 추가로 거쳐 기본 계획을 마련하고, 시행 과정에서도 주민의 참여를 전제로 해 추진하겠다고 했다.

제주도는 이를 위해 도시재생지원센터를 통해 인근 상인과 주민, 주부, 학생 등 다양한 계층이 참여·기획하는 주민협의체 등 소모임과 원탁회의 운영을 확대하고, 원도심 도시재생사업에 주민 참여 폭을 넓혀 나갈 계획이다.

또 내달부터는 도시재생대학 운영 등으로 도시재생사업에 대한 주민들 이해도와 역량을 강화하고, 주민과의 만남의 날을 정례화해 정보 등을 공유하며 갈등을 예방한다는 방침이다.

이는 너무나 당연한 조치로 적극 환영한다. 도시재생 사업의 주된 목적중 하나가 정주여건 개선이다. 그러기에 그곳에 사는 주민들과 같이 가야 소기의 목적을 달성할 수 있는 것이다.

그러나 원희룡 도정의 야심작인 ‘원도심 활성화 계획’은 일방적인 추진으로 주민들의 불신을 자초했다. 이번에 여러 계획들이 백지화된 사실이 이를 방증한다. 섣부른 정책으로 주민들 혼란을 야기한 측면도 있다. 원도심 활성화 사업에 ‘차 없는 거리’가 끼어들면서 도시재생을 관광객 유인을 위한 개발사업으로 보는 주민들도 있다. 사업 취지가 제대로 전파되지 않은탓이다.

행정은 시간이 걸리더라도 도시재생에 대해 충분히 설명하고, 의견을 수렴해 주민공감대 속에 사업이 추진될 수 있도록 노력해야 한다. 특히 도시재생이 성공하려면 해당 지역의 특성을 살리는 방향으로 사업이 추진돼야 한다. 지사 임기 내에 가시적인 성과를 도출하려는 조급함은 금물이다. 제주도가 공언한 ‘주민 참여를 전제로 한 원도심 활성화 사업’이 어떤 모습으로 나타날 지 귀추가 주목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