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오라단지’ 도의회 언행일치하면 된다

2017-03-27     제주매일

사업 부지는 물론 투자금액 까지 제주 사상 최대 규모이자 ‘특혜시비’ 등 논란이 끊이지 않는 제주오라관광단지에 대한 ‘결정권’이 제주도의회로 넘어갔다. 제주도는 24일 ‘오라관광단지 조성사업 환경영향평가서 동의안’을 도의회에 제출했다. 오라관광단지는 중국자본이 주도하는 JCC(주)가 제주시 오라2동 일대 357만5753㎡ 부지에 6조2800억원을 투자하겠다는 사업이다.

집행부로부터 ‘공’을 넘겨받은 도의회를 주목하지 않을 수 없다. 그동안 숱하게 지역 시민사회단체와 언론은 물론 도의원들이 지적해온 것처럼 오라관광단지의 문제가 만만치 않아 보인다.

사업 면적이나 투자 규모가 사상 최대인 것처럼 개발에 따른 긍정적 효과도 사상 최대에 달할 수 있다. 반면 사상 최대 규모 개발로 인해 도민과 지역사회가 ‘영원히’ 감내해야할 비용도 사상 최대 수준으로 예상할 수 있다.

우선 위치다. 마라도 면적(29만8000㎡)의 12배에 달하는 부지는 핵심 중산간지역인 한라산국립공원 바로 밑 해발 350~580m에 위치해 있다.

행정기관의 보완요구에 따라 1일 지하수 취수량을 5350t에서 3650t으로 줄였다고 하나 여전히 엄청난 양이다. 지금도 중산간 지역엔 종종 물이 부족, 제한급수가 이뤄지기도 한다.

도의회의 현명한 판단을 촉구한다. 아니 언행(言行)이 일치(一致)하기만 하면 된다. 도의회는 지난해 10월~12월 잇따라 열린 임시회 및 정례회 기간 오라관광단지에 대해 ‘특혜 의혹’을 제기하고 중산간 난개발에 심한 우려를 표하며 ‘청정과 공존’의 제주미래비전에 역행한다고 질타한 바 있다.

의원들은 상임위를 막론하고 지하수 양도·양수 문제를 비롯해 하수처리 문제, 환경자원총량제 제외 꼼수 의혹, 투명하지 못한 행정정보 공개 등 다양한 문제점을 지적했다. 신관홍 도의회 의장 역시 임시회 폐회사를 통해 “오라관광단지 조성사업에 대해 심사숙고해야 할 것”이라고 공언하기도 했다. 파괴는 쉽고 한번 훼손된 자연은 원형복원이 불가능하다는 점을 거듭 강조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