도시재생 ‘호기로운 출발’ 그것뿐

[도시재생을 말한다] 3. 전문가
계획 지나친 이해관계 이미 누더기 방향성 상실 지적
의견수렴 위 한 도시재생위 회의도 1년간 단 한차례 뿐

2017-03-09     오수진 기자

지난해 제주시 원도심 지역이 신규 도시재생사업 대상지로 선정되면서 이에 대한 논의를 위해 철거 위기에서 겨우 살아난 ‘고씨주택’에서는 호기로운 첫 시작이 있었다. 지역 주민에게 골고루 돌아갈 수 있는 ‘공공적인 발전’, ‘문화예술’을 바탕으로 한 재생으로 원도심을 살려가겠다는 의지를 내비쳤다. 전문가들은 어떻게 보고 있을까. [편집자주] 

송경호 전 안양공공예술기획단장은 도시재생 사업은 복잡한 문제를 안고 있지만, 주민들과 함께 긴 시간을 두고 진행한다는 조건 아래 추진해야 한다고 했다.

하지만 송 전 단장은 “이해관계에 얽매인채 지나치게 미시적이고 기능적으로만 움직이고 있는 제주도의 도시재생은 이미 누더기가 되어가고 있다”고 우려했다.

그러면서 그는 “전혀 공공적이지 못하고, 이익만 취하는 구조가 된 채 속전속결로 이뤄지고 있는데, 정작 행정은 무엇을 위한, 누구를 위한 재생인지 도시재생 관점도 서지 않은 채 진행하고 있다는 것을 모르고 있는 듯 하다”고 지적했다.

그러면서도 “시간이 10년, 20년이 걸린다하더라도 완성도를 높이기 위해서 치열한 논쟁과 협의를 통해 무형의 가치와 제주다움을 가진 공공의 방향으로 추진해야 한다”고 말했다. 
반면 이정민 도시계획박사는 일본 건축학자 야마자키 료 교수의 도시재생 3버전 주장을 전하며, 제주의 도시재생은 2버전 수준으로 성공 가능성이 낮아 백지화 하는 편이 옳다고 주장했다.

야마자키 료 교수 이론은 물리적 디자인만 강조하는 재개발(1버전), 계획가들이 수립한 도시계획에 의견을 반영하는 방식(2버전), 건축물 없이 지역주민과 의견 교환을 통해 주민들의 자발적인 활동이 도시활력을 이끄는 방식(3버전)으로 주민들의 소통과 커뮤니티 형성이 아닌 물리적 방식을 요하는 1, 2버전은 실패할 수밖에 없다는 이론이다.

이 박사는 “주민 어느 누구도 복원 사업을 원하지 않는데, 재생사업의 대부분을 차지하고 있다”며 “그런 사업이 추진 되고 있다는 것은 의사 소통이 전혀 되고 있지 않다는 것을 보여주는 것”이라고 말했다.

제주도는 지난해 도시재생특별법 및 조례에 따라 도시재생 활성화 지역내에서 추진하는 각종 사업들에 대한 심의와 자문 역할을 수행할 도시재생위원회를 구성했다. 당시 다양한 계층의 의견을 가감없이 수렴하기 위해서 건축·문화·관광·도시재생 등 각 분야의 전문가, 지역주민, 학부모, 청년 등으로 구성하며 기대를 모았지만, 지난 1년간 공식적인 회의는 ‘고씨주택’ 첫 회의 이후 단 한번도 열리지 않았다고 한다.

도시재생위원회 김석윤 위원장은 “아쉬운 부분이 많다”며 ”도시재생 사업이 효과를 보려면 해법을 제안하고 의견을 들을 수 있는 운영위원회도 활용하는 것이 이상(理想)인데, 법정 규정대로만 하려고 하니 그저 이상으로만 남을 뿐이다”고 말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