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생리대 대한 사회인식·접근성 개선 필요”

복지위, 여성건강권 토론회
국가 차원 제도마련 등 요구

2017-03-09     오수진 기자

지난해 5월 ‘깔창 생리대’ 사건으로 여성 인권 문제가 사회적 이슈로 떠올랐지만, 생리대에 대해 변하지 않고 있는 여전한 사회인식과 접근성 등이 여성의 건강권을 해치고 있다는 지적이 나왔다.

또한 생리대 지원정책을 단지 복지차원이 아니라 여성 인권의 문제로 인식을 확산해 접근성 강화를 위한 제도적 기반을 마련해야 한다는 의견도 제시됐다.

제주특별자치도의회 보건복지안전위원회(위원장 김용범)가 주최하고 강익자 의원실이 주관한 ‘여성의 건강권 확보를 위한 정책토론회’가 3·8 세계여성의 날을 기념해 9일 오후 제주도의회 대회의실에서 개최됐다.

이날 주제 발표에서 제주여성인권연대 고명희 대표는 지난 달 18일부터 27일까지 진행한 ‘생리대 정책마련을 위한 설문조사 결과’를 통해 제주도 여성 283명 중 222명(78.4%)이 생리대 미준비로 인한 곤란함 경험이 있어 유사시 여성들의 생리대 접근성이 매우 낮음을 알렸다.

그러면서 ‘공중화장실 생리대 자판기 설치’와 관련, 응답자의 91.5%(259명)가 설치가 필요하다고 답해 비상시 생리대 접근성을 높이는 필요성에 대부분의 여성이 공감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 한국의 생리대 가격은 2007년 소비자시민모임의 조사 결과 세계 29개국 중 세계 5위를 차지하고 있는 만큼 생리대가 비싸 신발의 깔창으로 생리대를 살고 있다는 저소득층 여학생의 사례가 반복되지 않도록 지원 정책도 필요하다고 265명(93.6%)이 답했다.

김용범 위원장은 “대한민국헌법 제34조는 ‘국가는 여자의 복지와 권익의 향상을 위하여 노력하여야 한다’라고 규정돼 국가 정책적으로 여성의 권리를 보호해야 한다”며 “실질적으로 국가 또는 지방자치단체에서 이뤄지고 있는 지원은 매우 미미한 실정인만큼 여성의 건강권 확보를 위한 많은 정책들이 나오길 바란다”고 말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