제주 치매환자 ‘신원 인식표’ 보급 저조

2015년 105명·작년 106명 등 매년 실종자 발생
보급률 1.3% 최하위…“개인정보 제공 꺼리기도”

2017-03-09     고상현 기자

해마다 제주 지역에서 치매환자 실종 사건이 발생하고 있는 가운데 발견 시 쉽게 신원을 파악할 수 있는 ‘치매환자 인식표’ 사업은 제자리 걸음을 하고 있다.

제주지방경찰청에 따르면 제주 지역 치매환자 실종 사건은 2013년 93명, 2014년 108명, 2015년 105명, 지난해 106명으로 해마다 발생하고 있다.

실제로 지난해 5월 21일 오전 서귀포시 성산읍 한 소나무밭에서 평소 치매를 앓던 강모(86) 할아버지가 실종 신고 접수 사흘 만에 숨진 채 발견되기도 했다.

이에 중앙치매센터는 2012년부터 보건복지부로부터 위탁받은 실종치매노인지원사업 일환으로 치매 등으로 실종이 염려되는 노인에게 인식표를 제작‧보급하고 있다.

‘인식표’ 사업은 사전에 등록된 개인 정보에 고유번호를 부여하고 해당 환자가 길을 잃거나 주소를 기억하지 못할 경우 쉽게 신원을 파악할 수 있도록 하는 사업이다.

하지만 제주 지역 인식표 보급률은 저조한 상황이다. 중앙치매센터에 따르면 지난해 기준으로 65세 이상 추정 치매환자 1만217명 중 134명에게만 지급된 상황이다.

특히 전국적으로도 제주 지역 환자 수 대비 인식표 보급률이 최하위인 것으로 나타났다. 제주는 1.3%로 1위 경북(5%)과도 차이를 보였다.

제주도광역치매센터 관계자는 “그동안 리플릿을 통해 홍보해왔지만, 개인정보가 필요해 꺼리는 가족이 많았다”며 “앞으로 인식 전환을 위해 열심히 홍보할 예정”이라고 밝혔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