중국 ‘사드 보복’ 제주관광 직격탄 우려

2017-03-05     한경훈 기자

한국 관광금지 조치 이달 중순부터 본격 영향 도내업계 ‘초긴장’
50%만 줄어도 내수효과 3조원 이상↓…뾰족한 대책없어 더 난감

중국 정부가 사드(고고도 미사일 방어체계) 배치에 대한 보복으로 자국 국민의 한국 관광을 전면 금지하면서 제주 관광업계가 직격탄을 맞을 것으로 예상된다.

제주도 등에 따르면 중국국가여유국(관광국)이 2일 베이징 일대 상위 여행사 20여 곳 여행사 관계자들을 소집해 단체와 자유여행상품 등 중국인의 한국행 여행 상품 판매를 즉각 중단하도록 구두 지시한 것으로 알려졌다.

이에 따라 한국행 단체관광은 물론 자유여행이더라도 온․오프 여행사를 통해 항공티켓을 끊고 한국으로 출국하는 것도 금지된다. 또 중국에서 출발하는 크루즈선은 한국 부두에는 접안하지 못하도록 했다. 중국 당국은 이미 계약된 관광상품은 이달 중순까지 모두 소진하도록 한 것으로 전해졌다. 이 같은 조치는 앞으로 지역별 회의를 통해 전국으로 확대 시달될 것으로 알려졌다.

이로 인해 제주 관광업계가 초긴장 상태에 빠졌다. 지난해 제주 외국인 관광객은 360만3021명 중 중국인은 306만1522명으로 전체 84.9%를 차지했다. 이 같이 제주에 절대적인 비중을 점하는 중국인 관광객이 이번 조치로 급감하면서 중국관광객 의존도가 큰 면세점과 숙박업소 등은 물론 지역경제에도 심대한 타격이 우려된다.

제주발전연구원 보고서에 따르면 2014년 기준 제주 방문 중국인 관광객 1인당 1회 방문시 평균 소비액(항공료 제외)은 준 1909달러(220만원)로 추산됐다. 중국 관광객이 50% 정도만 감소해도 내수효과가 전년에 비해 3조원 이상 줄 것으로 전망된다.

그러나 한국 관광 금지조치가 중국 정부 주도로 한 것이기 때문에 사드 갈등이 풀리기 전에는 뾰족한 대책이 없는 게 문제다. 제주도는 관련해 지난 3일 유관기관 대책회의를 가졌으나 원론적인 의견 교환 수준에 그치고 별다른 대책은 내놓지 못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