환경센터도 발목… 쓰레기 대란 우려

2017-03-05     제주매일

쓰레기 문제와 관련 또다시 악재가 겹쳤다. 요일별 쓰레기 배출제에 대한 도민들의 반발에 이어, 이번엔 제주환경자원순환센터(매립 및 소각) 건설도 발목이 잡혔다.

제주도는 지난 2일 구좌읍 동복리에 환경자원순환센터를 착공키로 했으나 합의사항 이행을 촉구하는 주민 반대에 부딪혀 삽도 뜨지 못한 채 철수했다. 당초 계획(2016년 12월 착공)보다 두 달이나 늦어졌음에도 불구하고 유치 당시 주민들과 약속한 마을 양돈장 이설 문제로 결국 무산된 것이다.

지난 2014년 동복리 주민 투표에 의해 환경자원순환센터가 유치됐을 때 제주도는 마을에 있는 양돈장을 이설해주기로 약속했었다. 하지만 양돈장 측의 거부로 협상이 난항을 겪으면서 환경센터 착공이 차일피일 미뤄지고 있는 상황이다. 이에 따라 자칫 이 사태가 장기화될 경우 쓰레기 대란이 현실화될 수 있다는 우려가 커지고 있다.

이와 관련 제주도 관계자는 “양돈장의 경우 사업부지 밖에 있기 때문에 행정적으로 강제할 수 있는 방법이 없어 우리도 답답한 심정”이라 밝히고 있다. 설혹 이 말이 사실이라 하더라도 이는 변명에 불과하다. 개인 양돈장 이설이 쉽지 않으리라는 것은 충분히 예견된 일이었다. 그렇다면 애당초 마을주민들과 굳은 약속을 하지 말았어야 했다.

양돈장 이설을 호언장담해 놓고 이제 와서 어쩔 수 없다며 주민들의 현명한 판단을 기대하겠다고 밝히는 것은 도리가 아니다. 행정 신뢰에 대한 문제이기도 하다. ‘주민들의 통 큰 결정과 이해’ 운운하기 전에 행정이 적극 나서 최선의 노력을 기울여야 한다.

제주환경자원센터 조성사업은 예산 2034억원을 투입, 동복리 26만7096㎡ 부지에 매립 및 소각시설을 건립하는 대규모 사업으로 오는 2019년 완공이 목표다. 특단의 대책을 서둘러 마련하지 않으면 우려하는 쓰레기 대란이 현실화될지도 모른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