도 전역 ‘고령화 사회’ 본격 진입한 제주

2017-03-02     제주매일

제주지역 인구의 고령화(高齡化)가 급속도로 진행되고 있다. ‘제주특별자치도 2016년 주민등록 인구통계 보고서’를 보면 지난해 말 기준 전체 인구 66만1190명 중 65세 이상 고령 인구는 13.5%인 8만9431명으로 집계됐다.

특히 도내 모든 읍·면·동이 ‘고령화 사회’(노인 인구비율 7%~14%)로 본격 진입했다. ‘장년기 사회’(4%~7% 미만)의 마지막 보루였던 노형동마저 지난해 7.15%를 기록하면서 고령화 사회로 접어들었다.

65세 이상(노인) 인구 비율은 읍·면이 동(洞)지역보다 더 높았다. 농촌의 인력 노령화가 심각하다는 반증이다. 노인 인구 비율이 20%를 넘기며 ‘초(超)고령 사회’로 진입한 읍·면·동도 모두 9곳으로 조사됐다. 제주시가 4곳(추자면 한경면 구좌읍 우도면)이고, 서귀포시가 5곳(영천동 성산읍 효돈동 안덕면 남원읍)이었다. 추자면은 65세 이상 인구 비율이 30.27%로 도내에서 가장 높게 나타났다.

인구의 고령화는 세계적인 추세다. 문제는 우리의 경우 그 속도가 너무 빠르다는 점이다. 그만큼 이에 대한 준비가 덜 되어 있다는 뜻이기도 하다.

고령화의 속도는 대체로 평균 수명의 증가와 출산율(出産率)의 저하에 의해 좌우된다. 그러나 평균 수명 증가보다는 심각한 출산율 저하에 그 원인이 있다는 것이 공통된 시각이다. 예컨대 한국의 출산율은 OECD 국가들의 평균에도 훨씬 못 미치는 고작 1.19명에 불과하다. 이는 장차 나라의 미래와 직결(直結)된 중차대한 문제다.

정부도 이 같은 원인을 깊이 인식하고 3명 이상의 자녀를 출산할 경우 출산장려금을 제공하는 등의 대책을 내놓고는 있다. 하지만 지금의 돈 몇 푼을 보고 나중에 거액의 양육비가 드는 아이를 낳으려는 사람은 그리 많지 않을 것이다. 한 통계에 의하면 자녀 1명을 낳아 대학까지 교육을 시키는데 소요되는 비용은 평균 8900만원으로 조사된 바 있다.

따라서 고령화 문제를 어느 정도나마 해결하기 위해선 자녀 양육 및 교육환경 등과 관련 획기적인 개선이 이뤄져야 한다. 이와 함께 빈곤과 질병, 역할(役割) 상실 등으로 기로에 놓인 노인 문제에 대해서도 다각적인 접근과 지원이 필요하다.

지금부터라도 고령화에 대한 철저한 대책을 마련하지 않으면 우리 후손들에게 큰 짐이 됨은 물론 국가의 장래 또한 암울하지 않을 수가 없다. 이 같은 문제들에 대해 제주자치도가 어떤 대책과 비전을 갖고 있는지 궁금하기만 하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