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무심한 행정’ 4·3유적지 598개소 중 18곳만 ‘관리’
주정공장 터 등 제주도 관리 유적도 ‘방치’
주변 급속한 개발로 훼손 우려 대책 시급
제주 4‧3 사건이 발생한 지 70년 가까이 됐지만, 도내 주요 4‧3 유적지가 제대로 보전된 곳은 극히 일부분인 것으로 나타났다. 제주도에 따르면 지난 2004년 4‧3유적정비계획 용역에 따라 제주 지역 4‧3 유적은 598개소이지만, 이중 낙선동 4‧3성, 큰넓궤, 북촌너븐숭이 등 18곳만 사실상 관람로 정비, 토지매입, 위령탑 건립, 안내판 설치 등 정비가 이뤄지거나 추진 중이다.
최근 4‧3 유적지에 주택 등이 활발히 지어지면서 빠른 속도로 훼손되고 있는 만큼 제주도 차원의 적극적인 대응이 필요하다는 지적이 나온다. 양윤경 4‧3유족회장은 “최근 들어 부동산 개발로 4‧3 주요 유적들이 많이 훼손되고 있다”며 “제주도에서 개발 제한을 두는 내용의 조례를 제정하는 등 유적 관리를 체계적으로 할 필요가 있다”고 말했다.
또 제주도 소유의 유적지조차 관리가 부실한 상황이다. 지난해 5월 4‧3 당시 수천여명의 민간인이 강제로 수용된 옛 주정공장 터에 인근 도로공사 업체에서 무단으로 폐자재를 버려 본지에서 지적(작년 5월19일자 5면 보도)한 바 있지만, 최근까지도 같은 문제가 되풀이된 것으로 확인됐다. 유족회 관계자는 “이 문제에 대해 수차례 항의했지만, 반복되고 있다”며 “유족회에서 해당 유적지를 직접 관리하는 방안을 논의 중”이라고 했다.
이와 관련해 제주도 관계자는 “2006년부터 정비 사업을 진행하고 있지만, 2010년부터 국비 지원이 끊기면서 유적 관리에 그동안 어려움이 많았다”며 “체계적으로 4‧3 유적을 관리‧정비하기 위해서 내년부터 새로이 전문가, 유족 등으로 구성된 4‧3유적보전위원회를 설립하는 등 조처할 계획”이라고 밝혔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