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문화재’ 논의됐던 시민회관 헐리나

제주도의회 업무보고 환경도시위원회
안창남 의원 ‘행복주택’ 제안에 道 “검토중” 맞장구

2017-02-09     오수진 기자

도시재생의 일환으로 제주시민회관을 헐고 행복주택을 짓는 등의 방안을 제안한 제주도의회 안창남의원의 발언이 도마에 오를 것으로 보인다. 문화재청에서도 해당 시설의 문화재적 가치를 인정했는데, 단순히 정주권 확보를 위해 제주도의 주거복합개발사업의 한 방안으로 제시한 것은 적절치 못하다는 지적이다.

문화재청은 지난 해 ‘근현대 문화유산 목록화 사업’을 통해 조사된 근현대 체육시설 113건 가운데 보존상태가 1등급 이상이고 문화재적 가치가 높은 A등급 7곳에 1964년 준공한 제주시민회관을 포함하고, 문화재 등록을 추진하겠다고 밝힌 바 있다.

제주시민회관은 1960년대 제주 유일의 문화체육시설로 해방 이후 1세대 건축가인 김태식에 의해 설계된 제주 최초의 철골구조 건출물이다. 또한 당시 대부분의 문화체육 행사들이 해당 시설에서 진행됐던만큼 제주도민들의 삶도 녹아있다는 점에서 문화재적 가치는 더해져왔다.  

그러나 문화재로 지정될 경우 재산권 침해, 지역상권 침체 등의 우려가 제기되면서 제주시는 문화재청에 반대 공문을 보내 결국 문화재 등록까지는 이어지지 않게 됐고, 대신 건축물 외형을 보존하며 활용하는 방안을 논의 중이었다.

그런데 안 의원은 지난 8일 환경도시위원회 업무보고 자리에서 “도에서 추진하는 주거복합개발사업을 통해 제주형 주거복지 실현이 일정부분 가능하다고 본다”면서 시민회관을 예로 들었다.

이어 “이런 곳에 2~3층은 주차빌딩, 3~4층은 청년 문화공간, 7~10층 위는 행복주택을 짓고, 이런 형태로 분산해서 하면 도시재생도 될 것”이라고 구체적으로 제안했다.

또 “도시재생에 가장 중요한게 정주권 확보다. 사람이 살아야지 유동인구만 갖고는 안된다”며 “동부 권역에도 택지개발이라도 해서 행복주택 짓고 서민주택 짓고 해야 한다”고 강조했다.

그러자 제주도는 “100% 동의한다”며 “시민회관도 들여다보고 있고, 실무적으로는 의견도 나누고 있다”고 맞장구치며 검토중임을 시사했다.

그간 제주시민회관은 해당 공간을 리모델링해 문화공간으로 활용하는 다양한 방안들이 검토돼 왔다. 실제로 예산까지 편성 되지는 않았지만, 지난해 제주문화예술재단이 레지던시와 전시공간으로 구성하려 했었고 올해 제주시는 추경에 다시 이 공간에 대한 예산을 반영해 복합문화공간으로의 활용을 검토 중이었다.

이와 관련해 제주대학교 김태일 교수는 “시민회관은 우리나라 대표적인 근대건축가의 대표 작품이고, 도민들에게 향수가 있는 문화시민공간이라는 점에서 제주도의 기억의 공간이라 할 수 있다”면서 “건축물의 철거는 그 속에 담겨 있는 역사와 이야기까지도 사라지게 되는 것이기에 신중해야 한다”고 지적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