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해군기지, 강정바다 연산호 군락 훼손 사실로”
‘50%이상 지표생물군서 상대적 감소’ 보고서 확인
연산호TFT 수년간 제기…해군 책임회피 논란 예상
제주 해군기지가 들어선 서귀포시 강정 앞바다에 있는 ‘연산호 군락지’가 기지 건설 과정에서 훼손된 사실이 해군 용역을 통해 최초로 확인됐다. 수년간 강정마을회 및 제주시민사회단체에서 제기해온 연산호 군락지 훼손 문제에 대해서 해군과 감독기관인 문화재청에서 아무런 문제가 없다는 입장을 보여 와서 논란이 예상된다. 연산호 군락지는 지난 2000년도에 천연보호구역(천연기념물 제421호)으로 지정된 바 있다.
강정마을회 등으로 구성된 ‘연산호 조사 TFT’에서 최근 입수한 ‘제주 민군복합형 관광미항 주변 천연보호구역 연산호 생태 사후조사’ 보고서를 보면 “50% 이상의 지표생물군에서 상대적인 감소가 발생하는 등 해군기지와 가장 인접한 강정등대는 기차바위, 범섬과는 다르게 통계적으로 유의하게 환경영향을 받았다”고 나왔다. 해당 용역은 지난 2014년 6월 문화재청이 해군 측에 요구해 진행한 용역사업으로 그해 11월부터 2015년 10월까지 성균관대학교 산학협력단의 조사 내용을 담고 있다.
앞서 연산호 조사 TFT에서는 제주해군기지 건설공사가 착수된 2011년부터 연산호의 종 다양성과 피복도 감소 문제에 대해서 지적해왔지만, 해군은 태풍 책임으로 돌릴 뿐 기지 건설로 인한 군락지의 훼손을 인정하지 않았다. 감독기관인 문화재청 역시 “해군에서 2011년부터 연산호 군락지에 대한 모니터링을 수행하고 있으며 그 결과 생육 실태에 큰 변화가 없다”고 2015년 국정감사에서 밝힌 바 있다.
해군 등에서는 공식적으로 기지건설로 아무런 문제가 없다고 밝혀왔지만, 연산호 훼손이 심각해지자 지난해부터 연산호 복원을 향후 3년간 추진하겠다는 계획 하에 테트라포트 12기를 강정 등대 해상에 몰래 투입하는 등 인공 복원을 시도하고 있다. 하지만 이를 제안한 성균관대 조사팀에서조차 이러한 복원사업이 “실험적 시도”라며 검증된 바 없다고 밝혀 사업 실효성에 의문이 제기되고 있다.
연산호 TFT는 2일 성명을 통해 “지금이라도 문화재청은 강정등대 일대에 대한 독자적이고 전면적인 조사와 함께 해군이 추진하는 복원사업 역시 그 타당성을 검증해야 한다”고 말했다. 이어 “이를 바탕으로 훼손된 연산호 군락지에 대해 강정마을회가 참여하는 중장기적 보전 계획을 수립해야 한다”고 밝혔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