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귀포 도순 주민들의 이유 있는 항변
서귀포시 강정 농어촌관광휴양단지와 관련 논란이 확산되고 있다. 중산간 난개발 및 도로개설 특혜 의혹에 이어 이번엔 도순다원의 지하수 사용 문제까지 불거졌다.
현재 도의회에는 지난해 11월 9일 도순마을회장 등 주민 26명이 제기한 ‘아모레퍼시픽 농어촌관광휴양단지 개발사업의 부당개발 방지 청원’과 도순주민 2명이 접수한 진정 건이 처리를 기다리고 있다. 이에 따라 오는 7일부터 속개될 제주도의회 임시회에서 의원들이 어떤 결정을 내릴지 귀추가 주목된다.
이와 관련 아모레 측은 지난해 12월 도순마을회관에서 사업설명회를 개최하고 해명에 나섰다. 사업 명칭을 ‘아모레퍼시픽 티스톤밸리 프로젝트’로 변경했고, 객실 수도 기존 66실에서 30실로 축소했다는 것. 또 1일 지하수 사용량도 500t에서 60t으로 줄였다고 밝혔다.
아모레 측의 해명에도 불구하고 이날 설명회에선 지하수 문제가 쟁점이 됐다. 주민들은 “이번 사업과 별개로 이미 도순다원에 허용한 농업용 지하수(1일 200t)로 인한 문제가 최근 들어 만만치 않다”고 밝혔다. 이어 “가뭄 때면 도순다원보다 낮은 지대에 있는 과수원들은 물이 모자라 힘들어 죽을 지경이다. 그런데도 고지대인 도순다원은 물을 풍부하게 사용했다며 그 이유가 1일 200t에 달하는 지하수 때문일 수 있다”고 따져 물었다.
물 문제가 계속 제기되자 아모레 측이 “(휴양단지의 경우) 지하수 신규 허가를 받지 않고 기존 농업용수가 아닌 상수도용으로 허가받은 1일 200t을 숙박시설에 사용할 수 있는 방안을 검토 중”이라며 진화에 나섰으나 오히려 더 큰 반발만 불러 일으켰다. 이는 편법적 발상일뿐 아니라, 강정 수원지의 상수원인 곳에서 양질의 음용 지하수로 수영장과 스파를 운영하겠다는 아모레퍼시픽의 인식은 아주 잘못된 것이라고 강력 비난했다.
이 같은 문제가 발생한 데에는 행정의 책임이 아주 크다. 고지대에 지하수를 허가하려면 저지대와의 연관성 등 지역적인 현실을 충분히 고려해야 했다. 고지대에서 지하수를 펑펑 뽑아 쓰면 그 피해가 저지대 주민들에게 돌아간다는 것은 상식이나 다름없다. 도민들이 중산간 난개발을 적극 반대하는 이유도 바로 여기에 있다.
더욱이 한진그룹에서 지난 몇 년간 시도하는 지하수 증량(100t)은 그토록 억제하면서 다른 사업장엔 지하수 허가를 남발하는 것은 형평성에도 맞지 않다. 이번 문제 역시 종합적인 상황을 고려하지 않고 단편적인 행정에만 매몰된 결과라 아니 할 수 없다. 도의회 농수축경제위가 이를 어떻게 처리할지 두고 볼 일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