中 툭하면 ‘몽니’… 국적다변화 등 절실

2017-01-19     제주매일

사드(THAAD·고고도미사일방어체계) 배치를 막으려는 중국의 ‘몽니’가 제주관광업계에도 큰 타격을 주고 있다. 중국의 최대 명절인 춘절(春節·설) 연휴 기간 제주를 방문하는 중국인 관광객이 전년에 비해 대폭 감소하는 등 피해가 가시화되고 있기 때문이다.

도관광협회 등에 따르면 춘절 연휴인 2월 7일부터 13일까지 제주를 찾는 중국인 관광객은 4만2000여명에 이를 것으로 추산되고 있다. 이는 지난해 같은 기간 제주를 방문한 5만1385명보다 16% 가량 감소한 규모다.

이 같은 중국 관광객 감소는 ‘전세기 운항 불허(不許)’가 가장 큰 원인이다. 중국 정부는 올 1월 한 달 동안 아시아나와 제주항공 등 우리 국적 전세기의 중국 운항 신청을 모두 불허했다. 국토교통부에 전세기 운항 신청을 냈던 남방항공과 동방항공 등 중국 국적 항공사들도 돌연 신청 철회 의사를 밝혔다. 말 할 것도 없이 중 당국의 입김이 작용한 탓이다.

그나마 다행인 것은 항공편 이용 관광객이 줄어든 대신 국제크루즈 등 선박을 이용한 중국인 관광객 방문은 증가할 것이란 전망이다. 관련업계에 의하면 이 기간 크루즈 등을 타고 제주에 오는 중 관광객은 지난해보다 70% 가량 증가한 1만7000여명에 달할 것으로 예상된다.

조금은 치졸스러운 중국의 ‘몽니’는 이번이 처음은 아니다. 별다른 이유도 없이 한류 스타의 출연 및 한국 드라마 방영을 금지하는 한한령(限韓令)이 발동된 것은 오래 전의 일이다. 이밖에 삼성·LG 등 중국 진출 한국 기업들의 옥외간판마저 모조리 내려졌다고 한다. 대국(大國)답지 못한, 그야말로 옹졸하고 쩨쩨한 행태가 아닐 수 없다.

지금과 같은 사태는 충분히 예견됐던 일이다. 외국인 관광객과 관련 중국에 대한 의존도를 줄이고 국적(國籍) 다변화 등을 줄기차게 주문해 온 것도 바로 이 때문이다. 그러나 이를 담당할 제주관광공사 등은 소리만 요란하게 홍보에 나설 뿐, 별다른 진척이 없는 상태다. 보다 내실 있는 대책마련이 요구되는 이유다.

또 하나 간과(看過)하지 말아야 할 것은 중국의 ‘몽니’로 인한 피해가 단지 관광에만 국한되지 않고 전 분야에 걸쳐 영향을 끼치고 있다는 점이다. 제주자치도 등이 이를 감안해 중국과 관련된 종합적인 대응 태세를 갖추는데 총력을 경주하길 기대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