제주인구 66만명… 걸맞은 대책 세워야
제주도 인구가 사상 처음으로 66만명을 넘어섰다. 지난해 5월 65만명을 돌파한 지 7개월 만이라고 한다. 인구가 증가하는 것은 반가운 현상이지만, 이로 인한 부작용 등을 최소화할 대책은 마련돼 있는지 걱정이 앞선다.
제주도에 의하면 2016년 말 기준 도내 인구는 66만1190명. 이 가운데 내국인이 64만1597명이었고 외국인은 1만9593명으로 집계됐다. 또 전체 세대수는 26만6972세대였다.
이 기간 제주시 인구는 전년보다 1만2547명이 늘어 48만3325명을 기록했다. 서귀포시 역시 7288명이 증가해 17만7865명이 됐다. 귀농·귀촌 열풍(熱風)에다 각종 도시개발사업의 영향에 힘입은 결과다.
특히 제주시 삼양동과 오라동은 신규 주택이 대거 들어서면서 인구가 폭발적으로 늘었다. 서귀포시도 영어교육도시 등이 활성화되면서 대정읍이 사상 처음 시 관내 읍면지역 2만명 시대를 열었다.
문제는 이 같은 인구 급증에 따른 상·하수도와 주차 등 제반 대책이 이에 걸맞게 세워져 있느냐는 점이다. 제주시로의 인구 편중(偏重) 또한 지역 균형발전 차원에서 결코 가볍게 여길 사안이 아니다.
더욱이 제주시 노형동의 ‘드림타워’나 현재 논란을 빚고 있는 오라관광단지 개발사업마저 추진될 경우 보다 심각한 문제들이 발생할 소지가 크다. 제주지역 전체를 대상으로 한 새로운 계획과 대책이 절실히 필요한 이유이기도 하다.
거듭 강조하건대 지금 거론하는 문제점들은 어느 한순간에 해결할 수 있는 단순한 과제가 아니다. 이를 알면서도 효율적으로 대처하지 못한다면, 인구 증가는 복(福)이 아니라 자칫 큰 재앙이 될 수 있음을 유념해야 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