도내 각종 공사장 ‘안전 불감증’ 여전
지난 3일 서귀포시 중문동 천제연폭포 인근 모 청소년수련원 신축공사 현장에서 비계(飛階·가설 발판)가 무너져 내렸다. 이 사고로 작업 중이던 황모(64)씨 등 3명이 머리와 다리를 크게 다쳐 병원으로 옮겨져 치료를 받고 있다.
경찰 조사결과 이들은 사고 당시 건물 외벽에 대리석을 붙이는 작업을 하고 있었던 것으로 알려졌다. 불행 중 다행으로 생명에는 지장이 없었지만 자칫 대형사고로 이어질 뻔 했다.
‘세월호 참사(慘事)’ 이후 정부가 “국가 대개조” 운운하며 대대적인 관리에 나섰지만 이후 달라진 것은 아무 것도 없었다. 지금도 전국 곳곳의 공사 현장에선 ‘안전 불감증(不感症)’으로 인한 각종 사고가 잇따르고 있다.
서귀포시의 경우도 예외는 아니다. 시는 ‘대형공사장 안전사고 제로(Zero)화’를 목표로, 지난해부터 대한산업안전협회와 함께 월1회 안전점검의 날을 운영 중이다. 그런데도 크고 작은 사고가 끊이질 않고 있다. 이번 청소년수련원 비계 붕괴 사고도 4일 예정된 ‘안전점검의 날’을 하루 앞두고 발생했다. 아이러니가 아닐 수 없다.
최근 3년간 제주도내 공사 현장에서의 구급(救急) 건수는 2014년 203건, 2015년 253건, 지난해 320건으로 해마다 증가하고 있는 추세다. 그토록 ‘안전’을 강조하고 있건만 사고는 점차 늘고 있으니 ‘백약(百藥)이 무효’인 셈이다.
문제는 상당수 근로자들이 공사 현장에서 안전수칙을 무시한 채 작업을 하고 있으나 제대로운 안전관리가 이뤄지지 않고 있다는 점이다. 그 이면엔 이윤 추구 때문에 뒷전으로 밀린 안전규정이 자리잡고 있다.
이와 함께 사실상 형식적으로 이뤄지는 당국의 지도 단속도 화를 키우고 있다는 비판의 목소리가 높다. ‘안전 불감증’으로 인한 인재(人災)가 과연 언제쯤 끝날 것인지 아득하기만 하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