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업자 ‘속내’ 드러난 오라단지 설명회
난(亂)개발 논란과 특혜 의혹이 불거진 ‘오라관광단지 개발사업 설명회’가 9일 메종글래드제주에서 있었다. 이날 사업자측은 제기된 각종 문제에 대해 적극 해명하고 나섰다. 하지만 해명 자체가 원론적인 수준에 그치는가 하면, “반대하는 도민은 1%도 안 된다고 본다”는 억지 주장을 펴는 등 의혹 해소에는 크게 미흡했다.
우선 하루 오수발생 예상량(4480t)과 관련 사업자측은 “사업이 완료되는 오는 2022년 6만명이 오라단지를 찾았을 때 580t의 하수 만이 도두처리장으로 갈 것”이라고 주장했다.
제주도가 보완을 요구한 지하수 사용 최소화 부분은 “현재 방안을 검토 중”이란 원론적 입장만 내놨다. 특히 자본금(資本金)과 관련 중국 정부의 개입 의혹에 대해선 “국가적인 문제라서 답변할 수 없다”며 어물쩍 넘겼다.
사업자 측의 ‘속내’는 JCC(주) 박영조 회장의 말에서 그대로 드러났다. 제주도민을 위한 오라단지 개발사업의 필요성을 강조하면서도 ‘투자 가능성이 높아’ 이번 사업을 추진하고 있음을 밝힌 것이다.
박 회장은 “개발사업으로 토지가격이 오르는 게 비즈니스다. 오라관광단지는 당연히 오를 것이고 평당 1000만원도 될 수 있다. 미래에 엄청난 흑자(黑字)가 난다”고 확언했다. 이어 “밑지는 장사에 투자할 사람은 없다. 그것이 불법도 아니고 도덕적으로도 문제가 없다”고 덧붙였다.
‘도민이 반대하면 안 할 수도 있다’는 원희룡 지사의 발언에 대해선 대놓고 반박했다. “언제는 오라단지를 지지하고…. 사업자가 봉이냐, 그럼 왜 정부가 필요하고 법이 필요하냐”며 힐난하고 나선 것이다.
더 나아가 하수처리장 시설이 부족하다는 사실을 이제야 알았겠느냐며, 기반시설도 안 해 놓고 개발사업을 유치한다는 게 말이 되느냐고 목소리를 높였다.
오라관광단지 사업과 관련 여러 의혹을 제기했던 제주도의회 강경식 의원(무소속)은 이날 사업설명회를 지켜본 후 이렇게 말했다. “자기자본에 대해 명확한 얘기를 못하는 것을 보니 대규모 부지를 마련해 기초 투자만 해놓고 자본금을 유치, 지가상승 등을 노려 부동산을 팔아먹을 가능성이 농후하다.” 어쩌면 강 의원의 말 속에 답(答)이 있는지도 모른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