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민행복택배서비스 제주는 ‘남의 일’

[긴급 진단] 제주도 특수 배송비 해법은<上>
일반 택배비 하락에도 특수배송비 부담 여전
도서·산간지역 4000원 자의적 적용 개선 시급

2016-11-08     박민호 기자

2000년대 이후 전자상거래가 활성화되면서 TV홈쇼핑은 물론, 인터넷과 모바일을 이용한 쇼핑이 보편화되고 있지만 제주도민들은 도서 지역이라는 이유로 ‘특수배송비’ 명목의 추가 비용을 지불하고 있는 실정이다. 섬 이라는 특수성 때문에 일정액의 추가 배송비는 불가피한 상황이다. 하지만 업체간 ‘특수배송비’ 산정 기준이 다르고, 일각에선 과다 책정에 따른 도민들의 배송비 부담이 1000억원에 이를 수 있다는 주장이 제기되고 있다. 이에 [제주매일]은 2회에 걸쳐 택배업체 ‘특수배송비’ 문제를 긴급 진단한다.

국내 택배업은 지난 1992년 6월 한진의 ‘파발마’로 시작됐다. 이후 1997년부터 신고제로 자유화된 이후 다수의 기업들이 택배시장에 뛰어들었고, 2000년대 이후 인터넷쇼핑과 TV홈쇼핑 등이 급성장하면서 택배산업도 동반 성장한다.

이 과정에서 60여개의 택배업체가 생겨났지만 최근까지 스스로 사업을 포기하거나, 기업 간 인수 합병과정을 거치면서 현재는 17개사 정도가 운영되고 있는 것으로 알려졌다.

2015년 기준 국토교통부에 등록된 택배 업체 중 기업 택배 5개사를 제외한 일반택배 12개사는 우체국, CJ대한통운, 로젠, 일양, 한진, 현대, KGB, KG, 경동, 천일, 대신, 합동택배 등이다.

한국물류협회에 따르면 지난해 국내 택배물량은 전년 대비 11.87% 증가한 총 18억1600만개(상자)로 경제활동 인구 1인단 67.9회가량 택배를 이용한 것으로 나타났다. 또 택배 매출은 4조3438억원으로 전년대비 9.26%늘었다. 올 상반기에는 전년보다 12.85% 증가한 9억7892만개로 나타났으며, 매출액 역시 9.83%(약2000억원) 증가해 2조2577억원으로 집개 됐다. 이 같은 증가세는 하반기에도 이어질 것으로 보여 올해 물량은 20억개를 넘길 것으로 전망되고 있다.

택배 시장 성장과 반대로 택배 단가는 업체간 과열 경쟁으로 인해 지속적으로 하락하고 있는 실정이다. 지난 2011년 2534원에서 정점을 찍었던 일반택배 평균단가는 지난해 2392원으로 떨어졌으며, 올 상반기에는 2308원 수준으로 하락했다.

하지만 이는 바다 건너살고 있는 제주도민들에게는 그저 다른 나라 얘기로만 들리는 상황이다.

택배회사들은 제주와 같은 도서·산간 지역에는 약 4000원 가량의 ‘특수배송비’라는 추가 배송비를 자의적으로 적용하고 있다.

한국물류협회가 발표한 국내 전체 택배물량 중 제주가 차지하는 경제 비울(약 1%)로 단순 역산하면 도민들이 이용하는 택배 물량은 연간 약 1816만개로 추산된다. 여기에 도민들이 부담하는 특수배송비(4000원)와 일반택배비(2392원)를 더한 값을 곱하면 연간 1160억원에 이른다. 이는 경제활동 도민 1인당 43만4016원 수준인 것이다.

때문에 일각에선 업체간 과열경쟁에 따른 손실분을 제주와 같은 도서·산간 지역의 특수배송비로 만회하고 있다는 주장이 제기되는 것이다.

정부는 2016년도 국가물류시행계획을 바탕으로 택배산업 육성·지원을 수행하고 있다. 이를 통해 발송 및 배송, 사후관리 등 택배 프로세스 전반의 서비스를 개선해 소비자 만족도를 높이는 ‘국민행복택배서비스’ 방안을 마련, 시행하고 있지만 도서·산간지역은 여전히 택배서비스 소외지역으로 남아있는 실정이다.

업계 전문가들은 “전 국민이 애용하는 택배서비스의 소외지역에 대한 소비자 만족도를 높이기 위한 특수배송지역의 택배비 불만에 대한 정책 마련이 시급하다”면서 “정부가 도서·산간지역에 대한 적정 배송비를 산정·지원해 전국어디서나 같은 가격의 동일 상품을 ‘행복택배’로 받아 볼 수 있는 물류복지를 마련해야 한다”고 말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