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최순실 게이트’에 역사 국정교과서 ‘도마 위’
교육부, 집필진·편찬기준 발표없이 28일 시안 공개 강행
비판적 시각 김병준 총리 내정자에, 곳곳서 철회 촉구 봇물
박근혜 정부가 역점과제로 추진해온 중, 고등학교 한국사 국정교과서가 공개 20여일을 앞두고 곳곳에서 철회 요구를 받고 있다.
최근 ‘최순실 게이트’로 주요 국정의 본질을 의심받고 있는 가운데 김병준 국무총리 내정자도 기존의 반대 입장을 재차 강조하면서 국정교과서가 추진동력을 잃고 있다.
교육부는 지난해 11월3일 각계의 반대에도 불구하고 중학교 ‘역사’와 고등학교 ‘한국사’ 교과서를 국정으로 발행한다는 내용의 ‘중ㆍ고등학교 교과용도서 국ㆍ검ㆍ인정 구분안’을 확정 고시했다. 해당 교과서는 당장 2017년부터 아이들 책상에 오르게 된다.
올 초 이미 교과서 집필에 들어갔다는 교육부는 집필진 46명의 명단과 편찬기준을 지금까지 공개하지 않고 있다.
이런 가운데 국정교과서를 추진했던 청와대 핵심 참모 김상률 전 교육문화수석이 최근 비선실세로 지목된 최순실씨의 최측근 차은택씨의 외삼촌으로 드러나면서 다시 국정교과서 문제가 주목받기 시작했다.
7일 하루에만 조희연 서울 교육감과 민병희 강원교육감, 박종훈 경남교육감, 김승환 전북교육감이 국정 역사교과서 계획 폐기를 요구했고, 지난해 국정교과서 발간에 반대했던 서울대 교수들이 개교 이래 역대 최대 인원으로 국정농단 사태에 대한 책임을 요구하는 시국선언에 나서면서 국정 교과서 문제가 수면 위로 떠오르고 있다.
교육부는 당초 계획대로 오는 28일 국정 역사교과서 현장 검토본을 웹사이트에 게재한다는 방침이다. 공개된 교과서는 4주간의 의견수렴을 거친 뒤 내년 2월 인쇄를 시작해 3월 신학기부터 전국 학교에서 사용될 예정이다.
그러나 오는 28일 시안 공개 이후 학계와 시민단체 등을 중심으로 역사 왜곡ㆍ축소 논쟁은 더욱 확대될 것으로 보여 교육부의 역사 국정교과서에 내년 3월 아이들의 책상에 오를 수 있을지는 여전히 미지수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