제주미래비전 계획과 오라관광단지
원희룡 제주도정의 제주미래비전 계획은 ‘청정(淸淨)과 공존(共存)’이 핵심이다. 올해 1월 기본구상안이 발표된 이후 실효성 제고를 위해 부서별로 차근차근 실행계획을 준비해왔다.
지난 4월부터 6월까지 부서별 실행계획(안)이 작성되고, 8월까지 전문가 컨설팅이 진행됐다. 이어 지난달까지 실행계획(안)에 대한 전문가 그룹 평가 및 수정 보완이 이뤄지고 총 150여건의 과제에 대한 실행계획이 마련된 것으로 알려졌다.
이를 바탕으로 오는 11일 도청 대회의실에선 ‘제주미래비전 실행계획’ 수립 추진상황 보고회가 열린다. 제주의 미래를 담보하는 계획의 비중을 감안해 원희룡 지사가 직접 주재할 예정이라고 한다.
현재 드러난 실행 계획의 주된 내용을 보면 제주의 해안변과 중산간 종합관리 및 이용에 대한 원칙과 기준 수립, 생태총량(生態總量) 보전제도 등이 눈에 띤다. 또 법률 및 조례의 제·개정과 관련 법정계획 수립 등 제도화 방안도 제시된다.
가장 큰 관심을 끄는 것은 실행계획 속에 포함된 ‘환경자원 총량보전’ 과제다. 최근 난(亂)개발 우려 등으로 지역사회의 최대 이슈로 떠오른 오라관광단지 사업과 맞닿아 있기 때문이다.
미래비전 계획에 의하면 오라단지 전체 부지의 90%가 환경자원 총량대상 1등급과 2등급 지역으로 분류된다. 이 계획이 확정 수립되면 사상 최대 규모라는 오라관광단지 개발사업은 사실상 불가(不可)하다는 뜻이다.
투자자가 사업을 서두르고 제주도가 이에 동조하는 듯한 모습을 보이는 것도 이와 무관치 않다는 해석이 나오는 이유다.
제주미래비전이 ‘청정과 공존’을 핵심으로 삼아 그 방향으로 나아가려는 것은 매우 옳으며 바람직스럽다고 여겨진다. 여기서 말하는 ‘공존’은 사람과 사람만이 아니라, 사람과 자연, 자연과 자연도 포함될 것이기에 더욱 그렇다.
이를 고려하면 오라관광단지 개발사업은 당연히 제주미래비전 계획 속에 포함되어야 마땅하다. 제주개발 역사상 최대 규모의 사업을 허가한 후에 ‘청정과 공존’을 말하는 것은 그 누구도 수긍하기 어렵기 때문이다.
원 지사 주재의 제주미래비전 추진상황 보고회가 어떤 결과로 나타날지 귀추가 주목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