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不通 청와대’ 국민의 분노를 명심하라
주말인 지난 29일 서울을 비롯해 전국 곳곳에서 박근혜 대통령 하야(下野)와 정권 퇴진을 요구하는 집회가 열렸다. 제주지역도 예외는 아니었다.
최순실씨의 ‘비선(秘線) 국정 농단’ 파문에 성난 민심은 청와대를 정조준했다. 박 대통령에 대한 실망과 분노를 쏟아내면서 책임을 물어야 한다고 주장하고 나섰다. “너무 참담하고, 절망스럽고, 우리나라가 왜 이렇게까지 됐나 너무 슬프다는 생각이 든다”며 대통령은 자신이 저질렀던 모든 일들을 책임지고 스스로 물러나야 한다고 목소리를 높였다.
캐도 캐도 끝이 없는 최순실씨 및 그 측근인사와 관련된 의혹에 국민적 공분(公憤)은 갈수록 거세지고 있다. 그러나 청와대는 이런 민심을 아랑곳하지 않고 ‘불통(不通)’으로만 일관하고 있다. 의혹의 핵심으로 떠오른 안종범 청와대 정책조정수석 등의 사무실 압수수색을 막아선 것이다.
청와대는 국가 기밀 등의 사유를 내세웠다. 아무런 공직도 없는 민간인인 최순실에게 유출됐던 대통령 연설문 등은 국가 기밀사항에 속한다. 박 대통령이 말했던 이른바 ‘국기(國紀) 문란’ 사건을 수사하려는 검찰에게 ‘국가 기밀’을 내세워서 압수수색을 방해하고 있으니, 이런 아이러니가 있을 수 없다.
국민들의 ‘촛불집회’를 일과성으로 판단하고 있다면 그것은 정부의 큰 오산이다. 지금 대다수 국민들은 개인과 정권의 안위보다 국민과 나라를 위한 ‘박 대통령의 결단(決斷)’을 지켜보고 있다.
속으로 응축된 그 힘이 언제 활화산(活火山)처럼 활활 타오를지 현재로선 짐작하기 어렵다. 제발 ‘호미로 막을 걸 가래로도 막지 못하는’ 어리석음을 범하지 말기를 바랄 뿐이다.
30일 이뤄진 의혹과 비리의 중심에 있던 우병우·안종범 수석과 측근 3인방 등의 교체는 미봉책도 아니다. 어설픈 꼼수로 상황 돌파를 시도하며 다시 국민들의 공분을 사지말고 사태의 심각성을 파악, 최순실씨에 대한 철저한 수사 등 진실 규명에 적극 협조해야 함을 강조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