동아시아문화교류 사업 특혜 논란 확산
의회 “비자격자에 예산” 더민주 “집행 중단해야”
道 “비영리 공익법인 등기…적격성 문제 없다”
동아시아문화도시 교류사업을 추진하고 있는 화동문화재단(WCO)에 대해 사업자 선정 당시 특혜가 있었던 것 아니냐는 도의회의 의혹 제기에 제주도가 사실이 아니라며 진화에 나섰다.
하지만 감사위원회에 감사 청구는 물론 진위여부가 가려질 때까지 관련 사업 예산 집행을 중단하라는 정치권의 논평도 이어지면서 논란은 쉽게 가라앉지 않을 것으로 보인다.
제주특별자치도는 27일 해명자료를 통해 지난 25일 제주도의회에서 제기된 동아시아문화도시 제주 사업자 선정 특혜 의혹은 “사실이 아니”라고 선을 그었다.
먼저 제주도는 화동문화재단 제주지부가 1년 이상 활동 실적이 없어 사업 자격 조건에 맞지 않는다는 의혹에 대해 “재단은 2007년 설립된 비영리 공익법인으로 제주사무소는 지난 2월 17일 등기됐다”며 “적격성에 문제가 없다”고 말했다.
제주도는 사업 신청 자격에 도내 사무소가 등록된 문화예술 관련 비영리법인 및 단체, 국내외 관련분야 1년 이상 활동 실적이 있는 단체로 조건을 내 건 바 있다.
또 화동문화재단이 공모 마감일인 3월 11일에 보조금 14억 원을 신청하면서 불거진 사업자 사전 내정설 의혹에 대해서는 “보조금지원신청서는 공모신청을 위한 구비서류의 일부일 뿐”이라며 “당시 공모지원을 신청한 3개 단체 모두 이 서류를 구비해 신청했다”고 주장했다.
공모심사위원회 심사결과에 따르면 동아시아문화도시 교류사업에 화동문화재단을 선정한 주 이유는 3억 7000만원을 자체적으로 추가 부담하겠다는 제안을 감안한 것으로 판단된다고 설명했다.
또 화동문화재단이 제주도에 보낸 고압적인 내용의 공문서에 대해서는 “보조금 심의 절차를 빠른 시일 내 마무리 해달라는 요청 문서일 뿐”이라고 일축했다.
이 같은 제주도의 해명에도 이날 더불어민주당 제주특별자치도당은 논평을 내고 “원희룡 도정의 투명성을 가르는 중대 사안”이라며 “감사위원회 감사와 별도로 도의회는 행정조사권 발동과 같은 수단을 통해 진위 규명에 적극 나서고, 제주도는 진위여부가 가려질 때까지 이 사업 관련 예산 집행을 중단하라”고 주장했다.
지난 25일 제주도의회 문화관광스포츠위원회 행정사무감사에서 김태석 의원(더불어민주당, 노형동갑)은 “화동문화재단 제주지부는 정식으로 등록·활동한 지 1년도 안됐는데 공인된 문서에 기초하면 제주도는 자격도 없는 단체에 14억이란 예산을 보조했다”고 의혹을 제기한 바 있다.
또 “함께 지원한 제주연극협회, 제주영상문화연구원은 객관적으로 국제교류 사업을 추진해 나갈 능력이 뒤떨어진다고 판단된다”며 “두 단체는 들러리로 세운 것”이라고 주장하기도 했다.
한편 제주도는 올해 문화체육관광부로부터 동아시아문화도시로 선정되면서 1년 동안 제주, 닝보(중국), 나라(일본) 3개 도시와 다양한 문화교류 사업을 지난 4월부터 진행하고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