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기차보다 대중교통 낙후문제 해결 우선”
최근 제주지역 도로 온실가스 배출량 증가율이 전국에서 가장 높다는 주장이 제기되면서 제주환경운동연합이 ‘전기차보다 대중교통 낙후문제를 우선 해결해야 한다’고 촉구했다.
제주환경운동연합은 24일 논평을 통해 “대중교통의 낙후로 자가용 이용이 편리한 것이 현실”이라며 “당초 취지에서 벗어난 전기자동차 정책은 온실가스 감축이 아닌 증가로 연결되고 있다”고 꼬집었다.
실제 교통안전공단이 국정감사에서 국회에 제출한 ‘2013∼2014 도로부문 지자체 온실가스 배출량 조사’ 결과에 따르면 제주지역 도로부문 온실가스 배출량 증가율은 전국에서 가장 높다.
증가량은 2013년 102만8000tCO2eq에서 2014년 131만4000tCO2eq로 상승폭이 27.8%나 됐다. 이는 같은 기간 전국 평균증가율 5.4%와 비교해 5배 이상 높은 수준이다.
올해 9월말 기준 제주지역 등록차량은 46만308대다. 이중 역외세입차량(11만2604대)을 제외한 실제 운행 중인 차량은 34만7704대다.
지난해의 경우 차량 신규 등록이 7만1671대로 하루 평균 196대가 새롭게 제주도로를 달리고 있다. 도민 한명 당 자동차 보유대수도 0.76대로 전국 평균 0.42대를 훨씬 웃돌고 있는 실정이다.
제주환경운동연합은 “결국 전기자동차를 왜 확대해야 하는지에 대한 당위성을 제주도 스스로 없애 버린 것”이라며 “탄소 없는 섬은 기약 없는 계획이다. 부디 제주도가 대중교통 개선과 기후변화 대응이라는 취지에 부합하는 전기자동차 정책으로 진짜 탄소 없는 섬이 되길 바란다”고 전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