오라단지 ‘청정과 공존’ 아닌 ‘자본과 야합’ 우려

2016-10-16     제주매일

제주특별자치도의 적극적인 ‘지원’ 속에 도의회의 최종 관문만을 남겨두고 있는 오라관광단지 개발에 대한 지역사회의 우려가 커지고 있다. 집행부가 허가를 주도하듯 하면서 개발에 필연적일 문제가 간과되고 있기 때문이다.
오라관광단지는 장소와 면적 모두 제주개발 사상 ‘최대’다. 따라서 부작용이 만만치 않을 텐데 ‘구렁이 담 넘어가듯’ 마지막 인허가 행정절차인 환경영향평가심의도 지난달 조건부로 ‘무난히’ 통과한 상태다.
오라단지는 제주시 도심지와 한라산국립공원의 중간인 해발 350m~580m에 위치하고 있다. 면적은 마라도(29만8000m²)의 12배에 달하는 357만5753m²다. 더욱이 부지 가운데 90%가 환경자원총량 대상 1·2등급 지역으로 분류, 대규모 개발 사업 자체가 환경자원총량제에 맞지 않다는게 시민사회단체들의 주장이다.
제주시민들의 머리맡과 같은 곳에 대부분이 환경총량대상지인 곳에 중국 자본이 주도하는 대규모 위락시설이 들어설 판이다. 문제는 도민들이 부담하거나 겪어야할 비용이 상상을 초월한다는 점이다.
오라단지에서 예상되는 1일 오수발생량은 4480t에 달한다. 성산읍 일원을 담당하는 성산하수처리장의 시설용량 4000t 보다도 많다. 또 생활용수 등 1일 물 예상사용량은 9524t으로 한림정수장 시설용량(1만t)과 맞먹는다.
현재 도두하수종말처리장 용량이 포화, 유사시 ‘똥물 배출’이 불가피한 상황이다. 오라단지까지 가세할 경우 문제의 심각성은 재론할 필요조차 없다. 상수도의 경우 전체 사용량의 50% 이상을 재이용한다고 해도 광역상수원(지하수) 개발이 불가피, 도민들은 물 공급 부족으로 제한급수 가능성도 배제할 수 없다고 한다.
제주의 미래가 도정이 주창하는 ‘청정과 공존’이 아니라 ‘자본과 야합’이 될 수도 있음을 지적한다. 환경영향심의위원회는 제주의 미래와 환경을 위한 ‘심의’ 기능을 상실했다고 해도 과언이 아니다. 제주의 미래가 믿을 곳은 도의회뿐이다. 후손들과 역사에 부끄럼이 없도록 냉철한 판단이 있어야할 것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