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생부 조작’ 빗나간 제자 사랑
일선 고등학교에서 학생부 정정이 매년 증가하고 있는 가운데 일부 조작하는 사례도 있다고 한다.
안민석 국회의원이 발표한 국감자료 ‘교육행정정보시스템(나이스)상 고등학교 학생부 정정 현황’에 따르면 전국 고교의 학생부 정정 건수는 2013년 25만1495건에서 올해 9월 현재 28만4548건 등으로 해마다 증가하고 있다.
제주지역 고등학교 역시 2013년 3782건, 지난해 4991건, 올해 3734건 등으로 학생부 정정이 상당한 것으로 나타났다.
학생부 정정은 정당한 절차를 거쳐 단순 오기(誤記)를 바로잡거나 미기재 내용을 첨가하는 경우도 있다. 문제는 고의적인 학생부 조작이 적지 않다는 데 있다. 안 의원에 따르면 대구의 A고등학교에서는 동아리 지도교사가 다른 교사의 권한을 도용해 동아리 학생 30명의 기록을 고쳤고, 대전의 B고등학교에서는 6회나 무단지각한 학생의 기록을 교통사고 입원으로 조작했다는 것이다.
고교에서 학생부 조작이 이뤄지는 것은 대입 수시모집에서 학생부종합전형의 비율이 높아졌기 때문이다. 도내 고교에서도 조작이 없었다고 장담할 수 없다. 올해 도내 고교의 학생부 정정 항목을 보면 ‘교과학습발달사항’(914건), ‘봉사활동’(770건), ‘창의적 체험활동’(585건), ‘수상경력’(509건) 등 대개가 수시에 영향을 줄 수 있는 사항이다.
학생들은 자신의 학생부를 학년이 바뀐 뒤에 확인하고 학업성적관리위원회의 심의를 거쳐 수정할 수 있다. 학생부 정정이 증가하는 것은 애초 기입에 오류가 많다는 말이다. 정정과정에서 부정이 개입할 우려가 있다. 입시를 위해 학생부를 조작하는 범죄행위를 저지를 개연성이 있다.
오류와 조작 모두 공교육의 신뢰를 떨어뜨리는 사안이다. 대책 마련이 시급하다. 인위적인 조작을 할 수 없도록 나이스상의 학생부 관리 시스템을 개선하고, 교육청의 관리·감독도 강화해야 한다. 시스템 개선 못지않게 교사들의 의식 개선이 중요하다는 점을 강조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