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단일 역사교과서 바람직 안해…다양한 사관 필요”
국회 교육문화체육관광위원회 교육청 국정감사
李교육감, 인정도서 발간 참여 의지 재확인
국감 대부분 여야 줄다리기 ‘맹탕’ 비판도
지난 7일 국회 교육문화체육관광위원회(위원장 유성엽)가 제주특별자치도교육청 등 8개 도교육청을 상대로 진행한 국정감사에서 이석문 교육감이 정부가 추진하는 한국사 교과서 국정화에 비판적 시각을 피력했다.
이날 노웅래 의원(더불어민주당, 서울마포갑)은 “국정 역사교과서가 1948년(8월 15일)을 ‘건국절’로 왜곡 기술할 것으로 보인다”며 “교과서가 이대로 발행되면 그대로 쓸 것인지” 질의했다. 보조 교과서나 대안교재를 만들 계획이 있는 지를 물은 것이다.
이에 대해 이석문 교육감은 “21세기 4차 산업혁명 시대에 단일사관을 강제하는 것은 바람직하지 않다”며 “다양한 사관이 학교 현장에 자리하도록 할 것”이라고 답해, 인정도서 출간에 참여하겠다는 의지를 다시 한 번 확인시켰다.
이 교육감은 지난해 11월 역사교과서 국정화 확정 고시 이후 유감을 표명하며 인정도서의 필요성을 언급한 바 있다.
그러나 현재 도교육청은 제주자치도만의 역사교과서 인정도서를 준비하는 것은 아닌 것으로 확인돼, 타 시도와 연계한 인정도서 출간이 이뤄지고 교재 활용에 제주도가 참여하는 방식이 될 것으로 전망된다.
더불어 이날 국감에서 신동근 의원(더불어민주당, 인천 서구을)은 “학교 업무 경감을 추진하는 제주에서 공문 발송은 줄었지만(2013년 대비 2015년 11% 감소), 교무행정팀 설치율은 전국에서 가장 낮은 17.4%(32개교)로 나타났다”며 그 이유를 물었다.
이에 대해 이석문 교육감은 “전산보조, 발명보조, 과학보조 등 일부 인력이 통계에서 빠져있어 실제로는 수가 더 많다”며 “내년에는 현재 50개교에서 20개 이상 더 늘릴 계획”이라고 밝혔다.
이날 현장에서는 제주교육청이 영양사 임금 인상분(면허가산수당)을 전국보다 늦게 지급한 문제가 지적됐고, 내부형 교장 공모제 확대 필요성 등이 제안됐다.
한편 이날 국감은 전국 시도교육청을 시, 도로 8개 교육청씩 나눠 하루 일정으로 진행된데다 국감 시간의 대부분이 이화여대 총장 증인채택 문제에 대한 여야 간 줄다리기로 채워지면서 ‘맹탕 국감’이라는 비판이 잇따랐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