제원아파트 재건축 ‘도로 폐도’가 관건

2016-10-04     제주매일

제주시 제원아파트 재건축이 급물살을 탈 전망이다. 제주시가 지난 6월 업체를 선정 정밀안전진단을 벌인 결과 조건부 재건축이 가능한 D등급으로 나왔다. 이로써 재건축(再建築)을 할 수 있는 기본적인 여건은 갖추게 됐다.

이에 따라 주민들의 발걸음도 빨라지고 있다. (가칭)제원아파트재건축추진위원회는 사업 추진을 위한 구역면적 및 도시계획시설(도로, 상하수도 등) 기초자료를 작성하고, 아파트 소유자 2/3 이상 동의를 받는 작업을 진행하고 있는 것으로 알려졌다. 추진위는 이를 토대로 11월 중 제주시에 재건축 정비구역 지정을 신청할 계획이다.

신제주 건설사업과 함께 지난 1978년 준공된 제원아파트는 일도2동 인제아파트와 더불어 도내에서 가장 오래된 아파트다. 신제주권 최대 중심지로 현재 22개동(5층)에 656세대가 거주하고 있다. 추진위는 일부 동의 고도(高度)를 최고 18층(50m)으로 높여 1100세대 이상 규모로 재건축을 추진한다는 복안이다.

그러나 넘어야 할 산이 많다. 우선 3종 주거지인 이곳을 준주거지로 변경해야 한다. 특히 아파트를 관통하고 있는 ‘도로 폐도(廢道)’ 문제가 재건축 사업의 최대 관건이 될 전망이다.

제원아파트를 관통하는 3개(동~서 방향 1개, 남~북 방향 2개) 도로는 아파트 건립 당시 기부채납한 것으로, 아파트도로가 아닌 공용도로이다. 이들 도로를 폐도할 경우 교통체증과 주차난이 극심해질 것은 당연지사다.

재건축이 순조롭게 추진되려면 추진위가 그에 걸맞는 대안을 내놔야 하는데 상황이 만만치 않다. 그동안 제원아파트 주민들은 지하 차도 및 주차장 조성을 대안으로 제시하는가 하면, 이곳을 상업지역으로 변경해 건축물 고도제한을 완화해 줄 것을 수차 건의했으나 제주시는 난색을 표해왔다.

제원아파트는 건립된 지 40년 가까이 되면서 재건축 등 특단의 조치가 필요하다. 반면에 기존의 공용도로를 무턱대고 없애는 것은 시민들의 큰 반발을 불러 일으킬 게 뻔하다.

재건축추진위가 어떤 해법(解法)을 내놓을지, 그리고 제주시가 이에 대해 어떤 합리적인 결정을 내릴지 귀추가 주목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