새 ‘뇌관’ 부상한 제2공항 민영화 의혹
제주 제2공항 건설계획이 또 다른 ‘복병(伏兵)’을 만났다. 입지로 선정된 지역주민들의 반발로 갈등이 이어지고 있는 가운데 ‘민영화 추진 의혹’이 새롭게 불거졌기 때문이다.
지난 27일 한국공항공사에 대한 국정감사에서 의혹(疑惑)이 제기된 이후 국토부와 제주도는 적극적인 해명에 나섰다. 그러나 이를 쉽사리 잠재우기는 어려울 것으로 보인다. 도내 14개 시민사회단체로 구성된 ‘도민행동’에 이어 이번엔 제주 제2공항 성산읍반대대책위원회가 재차 의혹을 제기하고 나섰다.
반대대책위는 29일 ‘제2공항 민자화 추진 검토’에 대한 입장을 통해 “지난 2014년 9월 도청 출입기자 간담회에서 원희룡 지사가 발언한 내용이 현대건설이 작성한 보고서 내용과 거의 유사하다”고 주장했다. 원 지사가 당시 “민간자본 유치는 정부 압박용이기도 하지만 실제 방안이기도 하다”는 말을 했다는 것이다.
이들은 또 “원 지사는 예비타당성조사 단축과 이른바 턴키방식을 도입해 2공항 완공을 2년 앞당기겠다” 강조해 왔는데, “이번 (현대건설) 문건에도 민자 추진시 24개월 앞당길 수 있다”고 명시하고 있다는 것. 우연치고는 드러난 정황이 원 지사와 현대건설 간 ‘사전 교감(交感)이 있지 않았느냐’는 의심이 들 정도로 너무나 흡사하다는 것이다.
이에 대해 제주도는 원희룡 지사가 직접 나서 적극 해명했다. 원 지사는 “제2공항 공항시설과 터미널 등 기본시설의 경우 국고(國庫) 재정투입을 전제로 한 사업으로, 입지선정 당시 4조1000억원이 투입된다고 확실하게 밝혔다”강조했다.
이어 “민영화(民營化)라든지 국고를 투입하지 않고 민자를 끌어들이는 것엔 반대한다”는 뜻을 분명히 했다. 특히 “일부 기업이 스스로 미래 사업구상으로 검토를 하는 것은 자유지만, 특정기업과 제주도 간 그와 관련된 제안은 커녕 접촉도 일체 없었다”며 현재 제기되는 각종 의혹에 대해 일축했다.
이 같은 해명만으로 ‘민영화 추진 의혹’이 가라앉을 것 같지는 않다. 무엇보다 난데없는 현대건설의 등장은 온갖 억측을 불러일으키는 빌미가 되고 있다. 새로운 ‘뇌관(雷管)’으로 부상한 이 문제가 어떤 결과로 귀결될지 귀추가 주목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