대대적인 수술 필요한 ‘제주예술단’
제주특별자치도립예술단(제주예술단)의 각종 문제가 불거지고 있는 가운데 예술단에 대한 대대적인 수술(手術)이 필요하다는 지적이 나오고 있다. ‘예술’이란 특성을 무시한 운영방식 등 제반 문제점을 총 점검하고 정비해 새롭게 태어나야 한다는 것이다.
제주예술단은 지난 2006년 제주특별자치도 출범 이후 시(市) 소속 단체들을 ‘도립(道立)예술단’이란 이름으로 묶어 외형적인 통합을 이뤘다. 하지만 운영은 여전히 제주시(교향악단, 합창단)와 서귀포시(관악단, 합창단), 도문예진흥원(무용단)으로 각각 나눠 기존 체제를 답습하고 있다.
현재 드러난 가장 큰 문제는 성격이 다른 5개 단체를 1개 조례에 의거해 공무원 조직처럼 운영하고 있다는 것. 때문에 예술인과 공무원의 중간 지점에서 단원들의 정체성(正體性)이 상실됨은 물론 이는 곧바로 부실한 공연으로 이어지고 있다는 지적이다.
특히 관련 조례는 단원들이 다른 직무를 겸할 수 없도록 하고 있다. 공무원에 준하는 대우를 받기에 불가피한 조치로 여겨지긴 하나, 제자조차 양성하지 못하게 막는 것은 도(度)가 지나치다는 반응이 대다수다.
유명무실한 평정(評定)제도 또한 예술단의 기량 향상을 저해하는 요인으로 꼽힌다. 조례엔 ‘평정 점수가 70점 이하일 경우 해촉할 수 있다’고 명시돼 있지만 지금까지 해촉된 단원은 단 한 명도 없는 상태다. 처음과는 달리 단원들이 점차 예술 활동보다 ‘철밥통’을 위안삼아 현실에 안주(安住)하는 이유다.
‘예술’에 집중할 수 없는 까다로운 복무규정 및 인건비에 치중된 예술단 예산도 질 좋은 공연을 하지 못하는 원인이 되고 있다.
예컨대 제주교향악단과 제주합창단을 합친 전체 예산은 연 54억여 원이다. 이 중 인건비 52억9500여 만원을 제외하면 공연에 사용되는 금액은 고작 1.6%인 8950여 만원에 불과하다. 이 돈을 갖고 두 단체가 연간 40회 가량을 소화하고 있으니 제대로운 공연이 이뤄질리 만무하다.
이 같은 문제점들을 그대로 놔둔 채 제주예술단의 활성화를 기대하는 것은 마치 우물에서 숭늉을 찾는 것과 같다. 따라서 예술단과 관련 대대적인 수술이 시급히 요구된다. 그리고 또 하나 제주도가 유념해야 할 것은 ‘지원은 하되 간섭을 해선 안 된다’는 원칙을 견지하는 것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