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민간 주도 거버넌스가 지속적·효과적”
17일 제주문화예술재단 주최 도민 대 토론회 열려
안영노 교수 “예술인·시민 문제의식 갖는게 중요”
거버넌스(governance). 기존 행정 이외에 민간 시민사회 등을 포함한 다양한 구성원들의 소통과 네트워크를 강조하겠다는 뜻에서 탄생한 말이다. 늦게 가더라도 다양한 이들과 함께 의견을 나누고 합의를 통해 도정을 이끌겠다며 원희룡 제주도지사가 취임 초부터 강조했던 ‘협치(協治)’의 뜻과 일맥상통하기도 하다.
이러한 뜻을 갖고 있는 ‘거버넌스’가 ‘제주문화’와도 결합됐다. 일명 민간이 주도하는 ‘제주형 거버넌스’다. 제주문화예술재단(이사장 박경훈)은 17일 서귀포 소암기념관에서 제6차 문화예술 섬 제주, 어떻게 만들 것인가 도민 대토론회를 진행했다. 이날 토론회는 ‘문화 거버넌스’란 무엇인지 그 의미부터 짚어보는 자리였다.
‘제주다운 민간 거버넌스’를 주제로 발제한 안영노 성공회대 초빙교수(문화기획자)는 지역사회가 인정할 만한 ‘문제의식’을 문화예술인, 시민이 갖게 되는 것이 민간 주도 문화 거버넌스의 첫 시작이라고 강조했다.
안 교수는 서울대공원장 재임 당시 만든 시민 네트워크 ‘동물이 행복한 숲(동행숲)’을 예로 들며 시민들의 자발적인 참여로 이어진 행동은 행정의 지원 없이도 문화예술이 오래 지속되고 확대될 수 있다고 주장했다.
그는 ‘한국의 동물을 보호 해야겠다’는 문제의식은 ‘동행숲’ 모임을 지난해 말 300여 명에서 현재 700여 명까지 늘어나게 했다고 자발적인 참여의 힘을 설명했다. 각자의 분야에서 전문성을 가진 이들이 확실한 문제의식이 있었기 때문에 동물 보호 활동에 대해 각자가 가진 능력으로 논의하고 활동을 이어 갈 수 있는 것이라고 자신하기도 했다.
그러면서 안 교수는 “3년이라는 축적된 시간을 통해 행정이 주도하는 거버넌스보다 민간인들이 주도하는 것이 훨씬 더 지속성이 있고 효력이 있다는 것을 알았다”며 “민(民)과 민(民)부터 협치 한 뒤 자치정부를 상대하는 것이 순서”고 말했다.
그는 이어 “이제 ‘문화예술 섬을 왜 만들어야 하는가’라는 질문을 ‘누구에게 어떤 좋은 점이 있어 만들어야 하는가’로 바꿔야 할 때”라며 “구체적인 과제와 실질적인 효과를 제시할 필요가 있다”고 언급하기도 했다.
한편 제주도와 제주문화예술재단은 오는 9월까지 ‘문화예술섬 조성(문화예술진흥), 누가, 무엇을, 어떻게 할 것인가?’라는 주제로 도민대토론회를 개최하고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