中관광객 유치효과 지역환원대책 절실

2016-08-04     제주매일

제주를 방문하는 중국인 관광객이 급증하고 있지만 소비가 대기업 운영 업체에 편중되면서 지역경제 파급효과가 제한적이라는 지적이다. 제주발전연구원 신동일 연구위원은 ‘중국인 관광객 유치에 따른 도민소득 증대 방안’ 연구보고서에서 이 문제를 지적했다. 도민사회에서 이에 대한 문제의식은 오래 전부터 있어왔지만 개선 기미가 보이지 않는 데 문제의 심각성이 있다.

보고서에 따르면 최근 도내 중국인 관광객 수는 2012년 108만명, 2013년 181만명, 2014년 286만명으로 증가했다. 지난해(224만명)에는 메르스 여파 등으로 다소 주춤했으나, 올해 들어서는 회복세다. 상반기 동안 전년동기 대비 20.7% 늘어난 140만명이 제주를 찾았다. 중국인 관광객의 경우 도내 외국인 관광객의 약 85%를 차지할 정도로 제주관광산업에 있어서 ‘노른자위 고객’이다. 그러나 지역경제 활성화 측면에서 중국인 관광객은 ‘빛좋은 개살구’나 다름없다. 경제적 이익은 대부분 대기업 업체가 차지하고 있기 때문이다. 지난해 제주를 찾은 중국인 관광객들의 쇼핑장소 비중을 보면 시내면세점(신라·롯데) 45.9%, 대형할인점 9.4% 등으로 대기업 업체가 55.3%를 점했다. 이들 업체에서의 쇼핑 금액도 도민이 운영하는 토산점판매점이나 상점가에 비해 훨씬 크다. 중국인 관광객 급증의 수혜가 주로 대기업 업체에 몰리고 있는 것으로 분석된다. 면세점 등 수익금이 역외로 유출되는 점을 감안하면 중국인 관광객으로 인한 지역경제 파급효과가 그리 크지 않다는 분석도 가능하다.

이 때문에 일각에서는 “중국인 관광객 증가에 따른 혜택은 도외 업체가 보고, 제주도는 환경오염과 소음, 교통혼잡 등 사회적 비용만 지불한다”는 극단적인 소리도 나온다. 대책이 필요하다. 신 위원은 이번에 관광진흥기금 징수대상 확대, 지자체 인증 공정관광 확산 등 정책방안을 제시했다. 당국은 이를 포함해 중국인 관광객 유치 효과를 지역사회로 돌리기 위한 다양한 방안을 마련해 추진해야 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