영화문화센터 개관 7년만에 ‘아웃’ 운명
제주, 잘못된 문화 정책 ④ 10년 앞도 못본다
계약기간 만료에 속수무책…“근시안적 행정” 지적
‘문화’총체적·전체적 관점서 멀리 바라볼 수 있어야
원도심 재생사업 일환으로 2010년 개관한 제주영화문화예술센터. 유휴공간인 옛 코리아극장을 임대해 영화관 및 소규모 공연장으로 사용 할 수 있도록 복합문화 공간을 조성했다. 그러나 2017년이면 현 자리에서 사라진다. 개관한지 10년도 안 돼 자리를 내주게 된 것이다.
영화문화예술센터 역시 애초 개관 취지는 센터를 조성해 침체된 원도심 지역에 활력을 불어넣고 다양한 프로그램을 통해 상징적 문화공간을 만들 계획이었다.
이미 언론을 통해 알려졌지만 영화문화예술센터는 건물주가 여러 차례 바뀌는 과정에서 현 건물주가 해당 공간을 상업공간으로 이용하겠다는 입장을 밝히며, 계약기간이 끝나는 2017년 3월부터 영화문화예술센터로 공간 활용이 어려워지게 됐다. 센터는 현재 공간 이전을 검토 중이다.
일부 예술계 관계자들은 이 같은 허점이 예견된 일이라고 입을 모은다. 원도심 활성화를 위해 1억 3000여만 원을 들여 센터 앞 광장까지 조성해놓고 재계약 거부 상황을 포착하지 못한 채 매입 없이 추진했다는 것은 탁상행정이나 다름없다는 것이다.
행정이 문화예술을 다루는 이 같은 태도는 10여 년 전이나 지금이나 크게 다르지 않다. 예술계 관계자들은 문화는 멀리 바라 볼 수 있어야 한다고 한 목소리를 낸다.
안양공공예술기획 송경호 단장은 “예술가는 장사꾼이 아니라 농사꾼”이라며 “문화는 모든 자원들을 총체적으로 바라보는 전체적 관점이 있어야 하고, 밭을 갈고 씨를 뿌리고 거름을 주는 과정을 거쳐 끈질기게 100년, 200년을 내다보며 진행해야 하는 데 그렇게 되고 있지 않다”고 지적했다.
이주 예술인들이 늘고 독자적인 문화 자원이 많은 ‘특별자치도’ 제주지만 문화를 향한 정책은 공모사업 중심의 중앙 행정과 크게 다르지 않다. 제주 고유의 문화시스템이 필요하다는 의견이 나오는 이유다.
최근 제주도는 ‘문화예술의 섬’을 향한 길을 걸으며 청년들은 물론 예술인들에게 지원을 아끼지 않고 있다. 하지만 정작 예술인들 사이에서 제주 문화예술정책은 인지도는 높지만, 만족도는 낮은 편이다.
지난해 제주문화예술재단이 진행한 제주문화예술인 현황조사에서 민선6기 문화예술정책 인지도는 응답자의 62.1%가 잘 알거나 들어본 적 있다고 응답했지만, 평균 만족도는 2.74점으로 보통(3.0)보다 낮은 것으로 조사됐기 때문이다. 다양한 문화정책이 진행되고 있음에도 결국 예술인들에게 실질적인 도움은 되고 있지 않다는 걸 반증하고 있는 셈이다.
하지만 취재 과정에서 만난 다양한 분야의 기획자, 예술인, 청년들은 대부분 행정에 불만을 제기하면서도 문화예술 발전을 위해서는 모두가 한자리에 모여 소통해야 한다고 강조했다.
간드락 소극장 이순희 대표는 “시작을 바꿀 수 없다면 잘못된 것을 알고 있는 그 순간부터라도 의논을 하고 개선해 새로운 것을 도출해야 한다”며 “이 모든 것은 같이 풀어가야 할 문제다. 예술가, 행정, 언론인 등 모두가 한 목소리가 돼 머리를 맞대야 한다”고 바람을 전했다. <끝>