제주 친환경농정 ‘소걸음’
소비자관심 불구 ‘닭보듯’
도내 재배면적 지난해 2556㏊ 전체 경지 4% 불과
내년 20% 확대 계획 ‘불가능’분석 적극육성 관건
농산물 시장개방에 맞서기 위해 정책적으로 친환경농업이 육성되고 소비자들의 친환경농산물에 대한 관심도 높아지고 있지만, 친환경농업 확산은 더딘 모습이다.
4일 한국농촌경제연구원이 내놓은 ‘2016 국내외 친환경농산물 생산실태’보고서에 따르면 지난해 기준 전국 친환경농산물 인증면적은 7만5142㏊(유기 1만8136㏊, 무농약 5만7006㏊)로 집계됐다.
지역별로는 전남이 3만6742㏊로 전국 친환경농산물 재배면적의 48.9%를 차지했다. 이어 전북 6561㏊(8.7%), 충남 6218㏊(8.3%), 경기 5319㏊(7.1%) 등의 순이었다.
반면 제주(2556㏊, 3.4%)와 충북(3049㏊, 4.1%)은 타 지역에 비해 친환경농업 인증면적이 적은데다 전년도 수준을 맴돌고 있다.
특히 전체 경지면적에서 차지하는 비중은 전남이 11.7%로 가장 높았고, 제주 4.1%, 강원 3.9% 등이었다. 나머지 지자체도 1.9%~3.2%의 비중을 나타내면서 지자체의 친환경농업 육성전략에 따라 상당한 격차가 있음을 보여주고 있다.
제주도가 지난 2012년 제3차 친환경농업육성 5개년 계획(2013~2017년)을 수립해 농산물우수관리인증(GAP)을 포함한 친환경농산물 인증면적 비율을 2017년 20%까지 확대하겠다고 밝혔지만, 실효성 있는 대책이 나오지 않는 한 실현은 불가능한 실정이다.
지난해 우리나라 친환경농산물의 시장 거래 총규모는 1조2718억원으로 추산됐다. 인증면적과 출하량 감소로 전년도에 비해 18.8% 줄어든 규모지만, 정부가 ‘제4차 친환경농업 육성 5개년 계획’을 추진하면서, 2025년까지는 지속적으로 시장규모가 증가할 것으로 전망되고 있다.
이에 따라 ‘청정 제주’이미지를 앞세워, 적극적인 친환경농업 육성전략을 마련하고, 가공과 외식, 수출, 관광 등과 연계한 6차산업화 추진이 요구되고 있다.
농경연 관계자는 “지역단위에서 친환경농업이 확산하기 위해서는 지자체의 적극적인 친환경농업 육성정책이 중요한 관건”이라며 “나아가 지역적 특색에 맞는 품목과 브랜드 발굴을 통해 차별화된 친환경농업 육성전략을 마련해야 한다”고 지적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