환경운동연합 “학교 생활화학제품 안전관리 전무”
2016-07-27 박민호 기자
제주도를 비롯한 전국 17개 시·도 교육청 중 단 한곳에도 초·중·고등학교에서 사용되는 생활화학제품(세척, 살균, 소독, 보건 등)의 안전관리 현황에 대한 파악이 이루어지지 않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환경운동연합은 정보공개 청구를 통해 지난 25일까지 초·중·고등학교의 생활화학제품 현황파악 여부를 조사한 결과 이같이 확인됐다고 27일 밝혔다.
환경운동연합에 따르면 전북 교육청이 관내 1000개 학교 중 52곳에 대해 시범사업을 진행한 것과 인천 교육청이 세척제 품목을 조사한 것 외에 전국 교육청에 공식적인 생활화학제품 관리 현황 파악이 전무했다.
환경운동연합은 “교육부 장관 및 교육감은 학교안전법에 따라 학교안전사고 예방을 위해 기본계획을 수립하고 관련해서 실태조사를 할 수 있다”면서 “때문에 학교에서 생활화학제품 안전관리 현황을 파악하는 것은 교육청과 교육부 장관의 기본업무”라고 주장했다.
이어 “화학물질로부터 안전한 사회를 만들기 위해 기본적인 사회 안전망 구축이 필요하다”며 “교육청과 교육부가 생활화학제품 현황 파악은 물론, 학교에서 사용할 수 있는 안전성이 확인된 제품군을 선정하고, 안전 사용 수칙을 마련하는 등 적극적으로 대응해야 한다”고 강조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