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민간에 의존하는 방역’ 개선책 마련을

2016-07-26     제주매일

최근 들어 비상(非常)이 걸린 지카바이러스와 일본뇌염 등 모기 매개 감염병을 차단하기 위한 방역소독이 도 전역에서 일제히 실시되고 있다. 그러나 일부 지역의 경우 방역(防疫) 인력이 모자라 큰 애로를 겪고 있는 것으로 알려졌다.

현재 도내 마을마다엔 청년회 등이 주축이 된 방역단이 운영 중이다. 활동 시 약간의 유류대와 식사비가 제공되고는 있으나, 대부분 ‘마을을 위한 봉사(奉仕)’ 일념으로 활동에 참여하고 있다. 원칙적으로 행정이 해야 할 일을 그동안 지역주민이 떠맡아 담당하고 있다 해도 과언이 아니다.

하지만 작금에 이르러 이러한 기류에 변화(變化)가 감지되고 있다. 비록 일부이긴 하나 방역단 참여를 꺼리는 마을이 하나 둘씩 늘고 있는 것이다. 예컨대 제주시 서부보건소 관할지역의 경우 전체 62개 마을 중 48개 마을에서만 방역단이 운영되고 있다. 지난해와 비교하면 1년 새 12개 마을이 줄어든 셈이다. 서귀포시 서부보건소도 사정은 마찬가지다. 때문에 방역당국의 고민이 점차 깊어지고 있다.

지역별로 조금씩 다르지만 당국은 마을 방역단에 매년 150만원 내외의 보조금을 지원해 왔다. 방역활동(5월~9월) 시의 유류비 등을 제외하면 단원들의 한 끼 식사비(1인당 7000원)에 불과한 정도의 금액이다. 그렇다고 ‘돈’ 때문에 사람들이 방역단 참여를 꺼리는 것은 아닌 것 같다. 아마도 짐작컨대 세태(世態)를 간과한 채, 아직도 주민들에게 ‘책임 떠넘기기’식으로 일관하는 행정 행태에 대한 반발로 여겨진다.

지카바이러스 출현 등 급변하는 환경은 이제 방역 분야에서도 일정 수준의 전문성을 요구하고 있다. 애향(愛鄕)이란 이름 하에 지역 주민들에게 방역을 맡기는 것은 구(舊) 시대적 산물이다. 차제에 관련당국은 ‘민간에 의존하는 방역체계’에 대한 개선책 마련에 조속히 나서야 할 것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