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송객수수료 투명화, 상시 모니터링 필요”

JTO 미래전략 워크숍서 조아라 문화관광연 연구위원 지적
‘수수료 저가관광 양산한다’ 업계-관광당국 인식 차 뚜렷

2016-07-25     진기철 기자

저가 관광상품 양산의 주된 원인으로 지목되는 송객수수료에 대한 정보를 정확히 제공하고, 상시모니터링 체계를 구축해 나갈 필요가 있다는 주장이다.

제주관광공사(JTO)는 25일 제주웰컴센터 4층 대회의실에서 ‘제7차 제주관광 미래전략 워크숍’을 개최했다.

이날 조아라 한국문화관광연구원 부연구위원은 ‘여행산업 저가구조 개선 과제 연구’라는 주제발표를 통해 송객수수료 문제는 ‘투명화 노력’이 관건이라고 밝혔다.

그는 “법적(공정거래법)으로 보면 송객수수료가 소비자의 후생이 감소할 만큼 우려사항이 존재하지만, 소비자의 이익을 현저히 저해하는 직접적인 부당한 행위라고 판단하기는 어렵다”고 했다.

다만 소비자관점에서 보면 시내면세점 쇼핑은 본인 희망이 13.1%, 가이드권유가 10.9%로 조사된 가운데 가이드 권유정도는 ‘강요한다’는 의견이 14.0%에 달해 관리할 필요가 있다고 강조했다.

그는 “송객수수료율만 줄일 경우 인센티브를 늘리는 방향으로 이어질 우려가 있고, 장소변경이나 쇼핑횟수를 늘려 쇼핑만족도 저하로 이어질 수 있다”며 “이 같은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서는 수수료 정보를 제공하고 상시모니터링할 수 있는 체계를 구축하는 것이 중요하다”고 제언했다.

이어진 토론에서는 송객수수료 문제를 놓고 업계 간 의견이 갈렸다. 여행업계와 면세점업계는 송객수수료가 저가관광을 양산한다고 보지는 않는다는 입장을 내놨지만 관광당국 등은 법적으로 규정해 관리해 나갈 필요가 있다는 의견으로 맞섰다.

우선 김주남 롯데면세점 제주점 대표이사는 “송객수수료를 리베이트로 보는 관점은 부당하다”며 “여행사의 손익이 수수료(50%)에 결정되는데 과도한 부분은 노력해 나갈 필요가 있지만, 수수료가 저가관광을 양산한다고 보지는 않는다”고 말했다.

배성환 비단국제여행사 대표는 “‘저가관광이 과연 송객수수료 문제인가’라고 물으면 단호하게 ‘아니다’라고 말할 수 있다”며 “단순히 송객수수료 개선이 해답이 될 수 없다”고 주장했다.

이에 반해 김남진 제주도관광협회 부본부장은 “특정 여행사가 중국시장을 주도하면서 황폐화 시키고 있는 게 문제라고 생각한다”며 “이로 인해 제주 랜드비 제로, 크루즈 인두세 700~1000위안 지급이라는 문제까지 발생하고 있다”고 지적했다.

그는 “최근 여행경비를 비교해보면 제주상품이 가장 저렴하다. 제주가 일본이나 태국만큼도 못한 3류관광지가 아니라는 것을 보여줘야 한다”며 “면세점도 공정관광에 기여할 수 있도록 돕고, 법률적 검토 작업도 이뤄져야 한다”고 강조했다.

오창현 제주관광공사 관광산업처장은 “송객수수료가 일반적인 면세점이나 쇼핑센터에 국한돼 있다면 큰 문제가 아닐 수 있지만, 전반적으로 확대된 게 문제”라며 “법·제도적 차원에서 더 심도 있게 논의할 필요가 있다”고 말했다.

장문봉 제주도 관광정책담당은 “수수료가 관광이미지에 부정적인 영향을 미치지 않는다는 데에는 동의하지 않는다”며 “관광진흥법상에 여행사나 안내사를 규제할 필요가 있다”고 피력했다.